[오늘의 증시일정](5일)

[오늘의 증시일정](5일)
◇ 신규상장
▲ LG CNS[064400]

 

    ◇ 추가 및 변경상장
▲ SG [255220](BW행사 28만6천880주 1천29원)
▲ 에스엘에너지 [214310](유상증자 292만9천936주 3천925원)
▲ 코오롱티슈진 [950160](유상증자 37만3천420주 11만8천95원)
▲ RF시스템즈 [474610](스톡옵션 32만5천300주 2천500원, 스톡옵션 1만7천500주 2천500원)
▲ HLB글로벌 [003580](CB전환 1만3천632주 4천401원, CB전환 39만6천510주 3천783원)
▲ HLB파나진 [046210](CB전환 1만3천258주 3천17원, CB전환 3천480주 3천17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4일) 주요공시]
▲ HS효성첨단소재[298050] 작년 영업이익 2천197억원…전년 대비 26.2%↑
▲ 대상[001680], 작년 영업이익 47% 증가…"소재시장 업황 개선"
▲ 아이에이[038880] "계열사 아이에이클라우드 주식 200억원에 추가 취득"
▲ 코오롱인더, 작년 영업익 1천645억원…전년 대비 17.6% 감소
▲ 세아제강지주[003030] 지난해 영업이익 2천251억원…전년 대비 61.9%↓
▲ 한국앤컴퍼니[000240] 작년 영업이익 4천243억원…전년 대비 65.4%↑
▲ 알테오젠[196170], 1천55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한미약품[128940] 작년 영업이익 2천162억원…전년 대비 2%↓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161390]지 작년 영업이익 1조7천623억원…전년 대비 32.7%↑
▲ LG생활건강[051900] 작년 영업이익 4천590억원…전년보다 5.7%↓
▲ HD현대마린솔루션, 지난해 영업이익 2천717억원…전년비 34.8%↑
▲ 하나증권 작년 영업이익 1천420억원…흑자 전환
▲ 하나은행 작년 영업이익 4조5천469억원…전년 대비 2.5%↓
▲ 하나금융지주[086790] 작년 영업이익 4조8천552억원…전년 대비 3.5%↑
▲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 작년 영업이익 1천842억원…전년 대비 56%↓
▲ 금호석유[011780] 작년 영업이익 2천728억원…전년 대비 24%↓
▲ 제일기획[030000] 작년 영업이익 3천207억원…전년 대비 4.3%↑
▲ 카카오페이[377300]증권, 주식거래 증가에 지난해 4분기 첫 흑자 기록
▲ 카카오페이[377300] 작년 영업손실 575억원…적자 지속
▲ 팬젠[222110], 작년 매출 101% 증가…역대 최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