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월 매독 등 성매개감염병 3천100건…1년 전보다 22% 급증

질병청 "위험한 성접촉 피해야…성병 의심되면 곧바로 검사"

 지난해 12월 한 달간 매독 같은 성매개 감염병이 1년 전보다 22%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의료기관 등을 통해 신고된 성매개 감염병은 총 3천100건이었다.

 성매개 감염병은 지난해 하반기 들어 한풀 꺾여 7월 3천770건에서 11월 3천9건까지 줄었으나 12월에 반전했다.

 작년 11월과 비교했을 때 12월에 매독과 성기단순포진, 임질의 발생 건수가 10% 이상 많아졌다.

 12월 매독 환자 신고 건수는 222건으로, 한 달 사이 15.0% 늘었다.

최근 6개월 성매개 감염병 신고 현황

 매독은 매독균 감염에 따라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이다. 성 접촉이나 수직 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된다.

 장기간에 걸쳐 퍼질 수 있고,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

 4급 감염병이었던 매독은 지난해 3급으로 한 등급 올라 전수감시 대상이 됐다.

 나머지 성매개 감염병 감시는 표본감시 체계로 운영된다.

 같은 기간 성기단순포진은 13.5%, 임질은 12.2%의 비율로 환자가 증가했다.

 반면 성기 또는 항문 주변의 사마귀성 질환인 첨규콘딜롬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각각 12.8%, 3.1%씩 감소했다.

 질병청은 성매개 감염병 확진을 막으려면 위험한 성접촉을 피하고, 성병이 의심되는 경우 비뇨의학과나 산부인과 등 가까운 병의원에서 바로 검사받을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