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임상 1·3상 급증…1년 새 4배 이상 ↑

"신약 개발 과정 데이터로 증명"…"신약 허가 승인 비율은 저조" 지적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임상 1·3상 시험 승인 건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승인 완료된 임상 1상 시험은 71건이다.

 2023년 17건, 2022년 4건이 승인된 것과 비교해 각각 약 4배, 18배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임상 3상 승인 건수도 급증했다.

 지난해 승인 완료된 임상 3상은 78건으로 2023년 17건, 2022년 3건에 비해 각각 4.6배, 26배가량 늘었다.

 임상 3상은 약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최종 점검하는 단계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비용이 투입되는 단계이자 약품이 시판된 뒤 이뤄지는 임상 4상을 제외하면 신약 시판 전 최종 검증 단계이기도 하다.

 올해만 해도 2달 사이에 임상 1상은 16건, 3상은 17건 승인됐다.

 개별 치료제별로 보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사노피와 공동 개발하는 21가 폐렴구균 백신이 지난달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지난해에는 종근당이 탈모 치료제로 개발 중인 'CKD-843'이 임상 3상에 돌입했다.

 업계는 임상 1·3상 승인이 증가하는 것이 신약 개발에 있어 고무적이라고 평가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신약 개발 과정 등을 데이터로 증명할 수 있는 수준에 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외 기업과의 협력 및 기술 수출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임상 1·3상 승인이 신약 개발을 담보하는 건 아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의약품 후보물질이 임상 1상을 통과해 신약 허가 승인에 도달하는 비율은 평균 9.6%에 불과하다.

 임상 2상을 거쳐 3상에 착수하더라도 신약 허가 신청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60%가 되지 않는다.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인 만큼 변수가 많고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다.

 앞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다수는 올해 신년사를 통해 연구개발(R&D)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신약 개발에 성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남시의료원 위탁추진 제동 걸리나…새정부 공공의료 정책 주목
공공의료 강화를 공약한 이재명 대통령 시대가 열리면서 경기 성남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시의료원 대학병원 위탁운영 계획의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새 정부를 출범한 이 대통령이 대선기간 공약을 통해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보건복지 정책에 변화를 예고한 터라 공공병원을 민간에 위탁운영하겠다는 성남시의 구상은 동력을 얻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공약집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진짜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며 "어디서든 제대로 치료받도록 지역·필수·공공의료를 살려내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가운데 시민단체가 '공공의료 파괴, 의료 시장화'를 주장하며 반대하는 성남시의료원 위탁운영 추진이 힘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성남시의료원과 이 대통령은 남다른 인연 또한 성남시로서는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던 이 대통령이 2000년대 초반 성남시립병원 설립 운동을 하다가 이를 계기로 정치에 입문했고, 성남시장에 당선된 뒤 시립병원 건립에 나서 공사를 추진했다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월 27일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수락연설에서 "2004년 3월 28일 오후 5시, 성남시청 앞 주민교회 지하 기도실에서 눈물을 흘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