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감량 주사, 임신 시도와 모유 수유 할 때 사용 금지 권고"

英의약품청 "경구피임약에 영향 미칠 수 있다"

 영국에서 '살 빼는 주사'로 불리는 체중감량제 일부가 경구피임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투약 중 효과적인 피임 수단을 써야 한다는 규제 당국의 경고가 나왔다.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은 5일(현지시간) 체중감량이나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계열 의약품에 대한 지침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경고했다고 BBC 방송과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의약품 부작용 의심 사례를 신고할 수 있는 MHRA 창구에는 GLP-1 계열 의약품 사용자의 임신 관련 사례가 40건 접수됐다.

 이와 관련해 스카이뉴스 등 매체들은 예기치 않게 임신했다는 체중감량제 사용자들의 사례가 온라인에서 상당수 제기됐으며 이런 아기에게 '오젬픽 베이비', '마운자로 베이비'와 같은 별칭이 붙고 있다고 전했다.

 MHRA는 마운자로의 경우 "과체중 또는 비만인 사람에게서 경구피임약의 효과를 낮출 수도 있다"면서 "콘돔 등 비경구 피임 수단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지침에서 MHRA는 GLP-1 계열 의약품이 태아에게 유해한지 여부를 파악할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면서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시도할 때, 모유 수유 중일 때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또한 예방 조치로 를 주성분으로 한 마운자로는 투약을 중단하고 1개월 뒤부터,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인 오젬픽과 위고비는 2개월 뒤부터 임신을 시도하도록 권고했다.

 앨리슨 케이브 MHRA 최고안전책임자(CSO)는 이런 제품은 의약품이므로 "미용 치료로 사용돼선 안 된다"며 "이는 체중 감량을 위한 빠른 해결책이 아니며 그런 방식으로 사용되기에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새 질병청장 "mRNA 백신 개발 적극 지원…노쇠 예방사업 추진"
제4대 질병관리청장으로 취임한 임승관 청장은 14일 "질병청이 감염병 재난을 비롯한 공중보건 위기의 컨트롤타워가 돼 국가 보건안보 역량을 키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이날 충북 청주 오송의 질병청 청사에서 연 취임식에서 "질병청이 국민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게 하겠다"며 향후 역점을 둘 과제를 소개했다. 임 청장은 "한국의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대응 과정에서 부족했던 점, 취약했던 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해 앞으로 나아가겠다"며 "그간 질병청이 준비한 각종 중장기 계획과 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질병청 주도로 국가 감염병 대응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넥스트 팬데믹 대응의 핵심 열쇠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플랫폼 국산화를 위해 올해부터 시작한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이제 더는 낯설지 않은 기후·인구위기 시대에서 중장기적 관점으로 국가 질병 관리정책의 토대를 쌓아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폭염, 폭우 등 기후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자 건강영향 감시·조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초고령사회에서 지역 커뮤니티 중심으로 노쇠 예방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코로나19 대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암센터,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식 교과서' 발간
국립암센터는 대한암예방학회와 공동으로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식 교과서(Fact Book)'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교과서는 식생활이 암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정리하고, 국민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작됐다. 통곡물·육류·생선·콩류·채소와 과일·유제품·음료·지방·당류 등 다양한 식품군은 물론, 특정 식습관과 조리 방법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으며 암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식생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암 발생의 30∼50%가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으며, 이 중 식습관은 개인이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단편적인 정보나 과장된 식품 광고가 범람하며, 특정 식품이나 성분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나 과도한 기대를 유도해 건강한 생활 습관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국민의 혼란을 가중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국립암센터는 암 예방과 관련된 식생활 정보를 보다 명확하고 균형 있게, 과학적 근거에 기 반해 전달하고자 이번 지식 교과서를 기획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번 교과서가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을 위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