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진실 덮다 서울로 넘긴 창원지검, '명태균 수사' 시늉만 했나

하다 하다 목사·스님에 선거감독 맡기자는 전광훈

이선균 이어 김새론의 죽음, 언론과 악플러 성찰해야

의대 정원 논의 '평행선', 언제까지 시간만 낭비할 텐가

▲ 동아일보 = 명태균 件 서울로, 황금폰도 다 복원… '게이트' 싹 열어젖혀야

"52시간제로 R&D 성과 줄어"… 그런데도 예외조항 뺀다는 野

유명 재수학원 1년 비용이 의대 6년 등록금… 웃지 못할 현실

▲ 서울신문 = '주 52시간' 원위치, 상속세 반쪽 개정 野… 성장우선 맞나

노골적 헌재 압박… 이런 여론전, 집권당이 할 일인가

'강남 영어 도우미'로 주저앉은 필리핀 가사관리사

▲ 세계일보 = 檢 명태균 수사 '빈손 이첩', 이러니 특검 주장 커지는 것

반도체법 '주 52시간 제외' 빠져… AI 전쟁 살아남겠나

김새론의 비보, 사람 잡는 악성 댓글 더는 방치 안돼

▲ 아시아투데이 = 'TF 대본' 따른다는 헌재 재판을 누가 믿나

대학가로 번지는 尹 탄핵반대 시국선언

▲ 조선일보 = 연금 개혁, 민주당 단독 처리라도 지금 해야만 한다

민주당 의원들이 사전 연습·회유한 특전사령관 증언

우크라 국민 짓밟고 서서 악수하는 트럼프와 푸틴

▲ 중앙일보 = 중도층 등 돌리는데 탄핵 반대에만 매달리는 국민의힘

안 그래도 갈라지는 나라, 가짜뉴스 망령까지 동원하나

▲ 한겨레 = '명태균 수사' 이제 와서 중앙지검에 넘긴 검찰

국민의힘 수렁으로 모는 권영세 선 넘은 내란 옹호

지금 상속세 완화할 때 아니다

▲ 한국일보 = 듣기 좋은 말만 듣겠단 尹·李 '우리편 유튜브' 편애

권력 눈치만 보다 '명태균 게이트' 핵심 손도 못 댄 검찰

연예인에게 더 가혹한 무관용 '나락 문화' 반성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협력이 답이다

연초 금융시장 자금 이탈, 예삿일 아니다

▲ 대한경제 = 건설현장 화재 대형화… 규정만 지켜도 막을 수 있다

시동 건 통상외교, 주고받는 딜로 관세폭탄 최소화해야

▲ 디지털타임스 = 與는 헌재로, 野는 서부지법으로… 사법부 `자업자득` 아닌가

광주 반탄집회 참가자 `악마`라는 李, `전체주의 사고` 위험하다

▲ 매일경제 = 반등한 둘째 출산…'아이 키울만하다'는 인식 확산 이어가야

졸면 죽는 냉엄한 글로벌 경쟁, 산으로 가는 반도체 특별법

美, 우크라에 "희토류 절반" 요구…힘없는 나라의 현실

▲ 브릿지경제 = K-배터리 북미 생산 거점으로 기회 요인 잡자

▲ 서울경제 = 의정 갈등 1년, 與野醫政 의대 정원·의료 정상화 논의하라

미·러 금주 우크라 종전 협상, 自强이 국가안보 핵심 깨달아야

巨野 "AI·방산이 성장 엔진" …역주행 입법으론 진정성 입증 못해

▲ 이데일리 = 탄핵 정국 속 첫 국정협의회, 이번엔 제대로 한번 해보라

美가 문제삼는 플랫폼법, 보복 본보기 될 이유 없다

▲ 이투데이 = '우크라 재건' 눈앞에…원팀 코리아로 적극 임해야

▲ 전자신문 = 해외 국책사업, 신뢰도 향상이 먼저

▲ 파이낸셜뉴스 = 첫 경제사절단 방미, 정부 대신해 협상 성과 내길

폴란드 원전 무산, 국정공백기 다른 건도 잘 살펴야

▲ 한국경제 = '문제 교사' 낙인 찍고 학교 불신 키우는 과잉 입법도 경계해야

최저임금위 37년 만에 개편, 노사 쌍방 입김 줄이는 방향이어야

천하의 인텔마저 삼켜버린 AI 태풍 … 누구도 안심할 수 없다

▲ 경북신문 = APEC 정상회의 준비에 비상… 이달 사실상 개막?

▲ 경북일보 = 지역의료 공백 장기화…정부 대책 내놔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