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추경 뜻 모은 국정협의체, 연금·반도체 합의도 속도 내라

'윤석열 궤변' 끝까지 다 탄핵된 헌재 변론, 파면뿐이다

상속·소득세 감세 꺼낸 민주당, 조세정책 큰 그림 그려야

윤 대통령 형사 재판 시작… 신속하되 공정성 시비 없어야

▲ 동아일보 = 尹 탄핵 심판, 25일 최후진술… 이젠 결정과 승복의 시간

노인 연령 상향 공식 추진… '45년 낡은 잣대' 바꿀 때 됐다

국정협의회, 추경·반도체법·연금 합의 불발… 한시가 급한데

▲ 서울신문 = "25% 이상, 한 달 내"… 관세폭격 시간표에도 여야정 '빈손'

탄핵심판 막판 '재판관 임기 연장'… 헌재 불신 키울 땐가

원전 1기 줄이는 에너지 정책, 이렇게 거꾸로 갈 땐가

▲ 세계일보 = 탄핵심판 막판까지 '음모론' 주장한 尹… 이젠 헌재의 시간

첫 국정협의회 빈손, 언제까지 민생·경제 방치할 건가

李 "민주당은 중도·보수"… 말 아닌 행동으로 보여야

▲ 아시아투데이 = 국힘, 조기대선 운운하다간 제2 적폐몰이 당한다

韓총리 탄핵, 尹 대통령 선고 전 신속하게 기각해야

▲ 조선일보 = "북 파병 증거 대라"던 자칭 '중도보수' 민주당의 침묵

강제 북송 반성 대신 큰소리친 文 정권 인사들

주차료 정산에 120명 정규직, 모두 국민 부담

▲ 중앙일보 = 탄핵심판 증인신문 마무리, 이젠 판결과 승복의 시간

성과 없이 끝난 여·야·정 협의회 … 정치권, 민생 절박감 있나

▲ 한겨레 = 윤 대통령 탄핵 당위성 굳힌 마지막 증인신문

지나친 '반중 자극' 국익 훼손, 국민의힘 자중하라

조세부담률 하락 '역대급', 여야 감세경쟁 중단해야

▲ 한국일보 = 이재명 "중도보수" 선언… 속 빈 논쟁 아닌 실천 담보돼야

"계엄 전 국무회의 흠결"… 헌재서 윤 대통령 반박한 한덕수

반도체 기술 유출 피해 수조 원인데 7년형… 솜방망이 아닌가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천장 무너진 삼각맨션,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 서둘러라

한전·한수원 집안싸움… K-원전 부흥에 찬물 끼얹나

▲ 디지털타임스 = 헌재 '尹변론' 종료… 판결에 국가 명운 달렸음을 명심하라

"AI 3대 강국 도약" 선언… 말잔치로 끝나선 절대 안 돼

▲ 매일경제 = '우크라 패싱' 미·러 협상… 북·미도 '서울 패싱' 우려 크다

AI강국 도약 '3개의 화살'… 말잔치로 끝나지 않으려면

고물가에 소득세 급증… 물가연동제 검토할만

▲ 브릿지경제 = 삼성전자의 '삼성다움' 회복할 수 있다

▲ 서울경제 = 헌재, 韓총리 탄핵심판 속히 결론내리고 공정성 논란 없게 해야

李 "민주당은 중도보수" …반기업적 입법 추진하면 믿겠는가

여야정 국정협의회 '빈손', 최악 대비 기업 투자 촉진책 서둘러라

▲ 이데일리 = 비상식적 헌법재판관 임기연장 법안, 왜 하필 이땐가

우크라 빠진 종전협상…우린 '코리아 패싱' 대비책 있나

▲ 이투데이 = AI 넘어 양자컴 시대, 총력 지원하되 간섭 삼가야

▲ 전자신문 = 코드서명 해킹, 작게 볼 일 아니다

▲ 파이낸셜뉴스 = 핵심 기술유출 20년 구형을 7년으로 깎은 법원

토종 AI 개발 구상, 늦은 만큼 획기적 성과 내길

▲ 한국경제 = 정부와 정치권, 의료계는 급변하는 바이오헬스 시장 제대로 보라

전쟁 주범 푸틴은 감싸면서 젤렌스키를 독재자라 핍박하는 트럼프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 中 덤핑 더 이상 좌시해선 안 돼

▲ 경북신문 = 이철우, "조기 대선 말할 때 아냐"… 여권에 일침

▲ 경북일보 = 경주 SOM1, APEC 정상회의 서막 올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