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간이식 성공…김수태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실정법 어길 위기에 "내가 감옥에 가더라도 수술하겠다"

 1988년 국내 최초로 간이식 수술에 성공한 김수태(金洙泰) 서울대 외과 명예교수가 4일 0시5분께 서울대병원에서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만 95세.

 전남 무안에서 태어난 김 교수는 1952년 서울대 의대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66∼1967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암 연구를 하던 중 '병든 간을 고칠 수 없으면 건강한 간으로 교체하면 될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장기이식의 길을 택했다.

 마침 1967년 미국 덴버대학에서 간이식에 성공한 걸 보고 결심을 굳혔다.

 1970년 7월부터 1년간 미국 콜로라도대 외과의 토머스 스타즐(1926∼2017) 교수팀에 합류하여 신장·간 이식의 임상과 동물실험을 보고 배웠고, 1969년 개 간이식 실험을 시작, 3년 동안 150여회를 되풀이한 끝에 1972년 개 간이식에 성공(67일간 생존)했다.

  고인이 이끄는 서울대병원 외과팀은 뇌사자 관리에 관한 법적 뒷받침이 없던 1988년 3월16일 오후 6시부터 3월17일 오전 4시30분까지 장장 10시간30분의 대수술 끝에 뇌종양으로 인해 뇌사 판정을 받은 간 제공자 이모(향년 14세)군의 간을 당시 대사성 간질환인 윌슨병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 이모(당시 14세)양에게 최초로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씨는 30년이 지난 2018년 에도 중년 여성으로 건강하게 살고 있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국내 최초'보다 어려웠던 것은 뇌사자의 장기를 꺼내는 것 자체가 실정법 위반이라는 점이었다.

수술 당일 오전에 열린 긴급회의에서 당시 서울대병원장은 "안된다"고 반대했다.

 박귀원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는 "논란 끝에 김수태 교수님이 '내가 감옥에 가더라도 (수술) 하겠다'고 그러셨다"고 기억했다.

 고인이 이끈 수술이 성공하자 대한의학협회는 1989년 8월 뇌사의 입법화를 보건사회부에 건의했다.

 한국에서 뇌사자의 장기이식이 합법화된 것은 2000년 2월9일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부터.

 2002년 2월15일 인천길병원(현 가천대 부속 동인천 길병원)에서 한국 최초로 합법적인 뇌사자 장기 적출이 이뤄졌다.

 김 교수의 성공 이래 국내에선 1992년 5건, 1997년 69건, 1999년 195건, 2003년 414건, 2015년 1천227건, 2020년 1천541건의 간이식이 이뤄졌다.

 1988년 당시 또 다른 난관은 대량 출혈이 동반되는 간이식 수술을 해본 마취의가 없다는 점이었다.

 고인은 1986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 있던 마취과 의사 고홍에게 미리 피츠버그대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지켜보게 했다.

 수술 장비도 부족했다.

 간을 가리는 갈비뼈를 당겨서 시야를 확보해줄 자동견인기조차 없었다.

 고인이 사비로 자신이 목격한 미국 장비랑 비슷하게 만들어서 사용했다.

 환자의 집안 사정도 여의찮았다. 수술비에 보태려고 고인은 사비까지 털었다.

 한국에서 첫 수술이 성공했다는 소식에 일본 언론까지 나서서 대서특필했다.

 일본은 다음해인 1989년 나가스에 나오후미(永末直文·1942∼2024) 시마네대 의학부장이 처음 성공했다.

 김 교수는 2018년 3월14일 열린 간이식 성공 30주년 기념식에서 한국경제신문 기자에게 "당시 병원장도 반대해 성공하면 병원 몫, 실패하면 김수태 몫이라고까지 설득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도전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했다.

 김수태, 이건욱 교수팀은 1992년 7월11일 뇌출혈로 뇌사에 빠진 46세 여자 공여자의 간 중 일부인 좌-외측 구역을 선천성담도폐쇄증의 1세 남아에게 이식함으로써 아시아 최초로 부분간 이식에도 성공했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국내 최초의 생체 간이식이라고 할 수 있다. 1995년 정년까지 17건 간 이식 수술을 집도했다.

 1995년 정년퇴임했고, 2001년에는 초대 아시아 이식학회 명예회장으로 활동했다.

 국내 간이식 성공률은 1980∼1990년대만 해도 76.8%였지만, 2000년 이후 급증해서 평균 90% 이상의 성공률을 보였다.

 우리보다 먼저 시작한 독일, 미국 등의 평균 성공률인 85%를 앞서는 수치이다. 

 고인은 1988년 간 이식 성공으로 대한외과학회 창설 후 첫 학술공로패를 받았고, 2000년 성곡학술 문화상, 2006년 성산장기려상을 받았다.

 허정 전 서울대 보건대학원장은 2019년 6월 보건신문에 "대학병원에서 수술 잘하는 교수로 이름을 날렸지만 생활은 그다지 풍족하지 않았다.

 부친이 경영하던 전라도 광주의 외과병원에서 집도하고 매달 생활비를 받았다는 얘기를 듣기도 했다. 국내 최초로 간이식 수술에 성공했고 수술 잘하는 유명한 외과교수로 일생을 지냈지만 너무 고지식해서 크게 각광을 받지는 못했다."고 적었다.

 유족은 2남1녀(김서경·김건표·김형남)와 며느리 이보영씨, 손자 김찬우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6일 오전 9시, 장지 전남 무안 선영. ☎ 02-2072-209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