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자구노력 없이 회생 신청한 MBK, 무책임한 투기자본

이재명의 '비명계·검찰 내통' 발언, 이래서 통합되겠나

헌재는 한덕수 탄핵심판 선고를 왜 이렇게 미루는가

갈수록 악화되는 우리 사회 이념 갈등… 정치인 책임 크다

▲ 동아일보 = 이복현 "삼부토건株 100억대 이상 차익"… 당장 수사 나서라

10년 만에 한경협 만난 민주당 대표… '청취' 말고 '액션' 보여야

'칩스법' 뒤집겠단 트럼프… 美 의회-유권자 통해 막을 수 있다

▲ 서울신문 = 정부 빠진 국정협의회… 그마저 시늉만 하고 또 헛바퀴

민가 폭탄 날벼락까지… 안보 불안에 잠이 안 올 지경인데

트럼프의 오해, 리스크 첩첩… 한미 소통 채널 강화 고삐를

▲ 세계일보 = 李의 '비명·검찰 유착설', '통합 행보' 진정성 의심된다

내년도 의대 정원 원상복귀… 의료계, 더는 반발 명분 없어

한·미 훈련 중 전투기 오폭 15명 부상… 군 제정신인가

▲ 아시아투데이 = 이재명의 좌충우돌 우클릭, 벌써 '대권 놀음'인가

곽종근 '회유' 증거, 尹탄핵 각하사유 또 나왔다

▲ 조선일보 = "내란죄로 엮겠다며 살려면 양심선언 하란다"

자신 혐의 배임죄는 "폐지" 상대엔 "검찰과 짰다"

헌재, 통상 전문가 한 총리 복귀 시간 끌면 안 돼

▲ 중앙일보 = 내부 정적 색출하려 국민 약속 깼다는 이 대표, 사실인가

전투기 훈련 중 초유의 민가 오폭, 원인 철저히 규명해야

▲ 한겨레 = "검찰 내통 추측" 이재명 대표 통합 해치는 언행 삼가야

의대생 복귀 약속도 없이 의대 증원 원점 회귀하나

상계엄 이어 전투기 오폭 사고, 군 왜 이러나

▲ 한국일보 = 트럼프의 위험한 '알래스카 초대', 득실 제대로 따져야

검찰과 비명계 암거래했다는 이재명의 자충수

초유의 전투기 '민가 오폭' 사고… 있을 수 있는 일인가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수도권 레미콘 단가 인하, 수요줄면 가격 떨어지는게 순리

분출하는 개헌 요구, 이재명 '로드맵'은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라

▲ 디지털타임스 = 기업 97%가 우려하는 경제위기… 정부·정치권만 안일하다

50조원 국민펀드 띄운 野… 벌써 대선 겨냥 공약 남발인가

▲ 매일경제 = 40년째 지지부진 알래스카 LNG, 투자수익은 철저히 따져야

배우자 상속세 폐지·유산 취득세 꺼낸 與, 野도 머리 맞대야

"빚내 기업 인수하고 망하니 나몰라라" MBK의 모럴해저드

▲ 브릿지경제 = 홈플러스 사태로 PEF 문제점 또 드러났다

▲ 서울경제 = 서울대 성과연봉제 도입, 고급 인재 확보에 나라 미래 달려

정부 '의대 증원' 백지화…의료 개혁 후퇴 누가 책임질 건가

기업 97% "올해 경제위기 올 것" …규제 혁파로 돌파구 찾아야

▲ 이데일리 = 저고위 마비, 인구부는 감감… 출생 반등 호기 놓칠 건가

한국 콕 찍어 내민 트럼프 청구서… 해법 찾기 서둘러야

▲ 이투데이 = 주 52시간도 못 풀면서 'K엔비디아' 입씨름이니…

▲ 전자신문 = K혁신기업 기량, 성장으로 잇자

▲ 파이낸셜뉴스 = MBK 먹튀 논란 홈플러스 '제2 티메프' 안돼야

징벌적 상속세, 유산취득세로 개편할 때 됐다

▲ 한국경제 = 배우자 상속세 폐지·유산취득세 전환이 글로벌 스탠더드

귀 열겠다고 해놓고 경제계 요청 끝내 외면한 이재명 대표

전투기 오폭 사고 … 軍 기강 다잡아야

▲ 경북신문 = 선관위원장 사퇴와 동시에 석고대죄 해야

▲ 경북일보 = 군부대 이전 대구, 메트로폴리스 구상 필요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