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나에 일어나는 핫홀 2배 증폭시키는 기술 개발

KAIST·인하대 "태양광 에너지 고효율 전환 기술 개발에 기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정영 석좌교수와 인하대 이문상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순간적으로 소멸 하는 플라즈모닉 핫홀을 더 오래 유지하고 증폭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플라즈모닉 핫홀은 빛이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정공(hole)이다.

 높은 에너지를 갖고 있어 고효율로 광에너지를 전기·화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지만, 피코초(1조분의 1초) 안에 사라지기 때문에 실제 응용하기는 쉽지 않다.

 연구팀은 금속 나노 그물망을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인 질화갈륨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 핫홀 추출을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

금속 나노 그물망을 이용한 핫홀 추출 모식도

 핫홀 추출 방향과 같은 질화갈륨 기판 위에서는 다른 방향보다 핫홀의 흐름 증폭이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광전도성 원자힘현미경을 활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인 ㎚ 수준에서 핫홀의 흐름을 실시간 분석했다.

 핫홀은 금 나노 그물망에 빛이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영역에서 강하게 활성화되지만, 질화갈륨 기판의 성장 방향을 바꾸면 이외의 영역에서도 핫홀의 흐름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영 교수는 "빛을 전기·화학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았다"며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변환 기술의 발전을 통해 차세대 태양전지, 광촉매, 수소 생산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지난 7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