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김혜리 교수가 소아 백혈병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6/art_17567132903123_9a8c7a.jpg?iqs=0.556203582830122)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혈액암인 소아급성림프모구백혈병(ALL)은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크게 높아졌지만, 일부 환자는 겉으론 완치된 듯 보여도 몸 안에 극소량의 암세포가 남는 '미세잔존질환'(MRD)으로 인해 재발 위험이 크다.
과거에는 미세잔존질환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골수 검사 시 체내에 남아있는 암세포 수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맞춤형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역시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김혜리 교수 연구팀은 2013년 1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이 병원에서 치료받은 소아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 212명을 분석한 결과, 미세잔존질환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항암 치료 강도를 높였을 때 생존율이 90%로 향상됐다고 밝혔다.
1차 치료 후 미세잔존질환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는 21명이었고, 이 중 12명에게 한 단계 강화된 치료를 적용했다.
그 결과 이들에게서 5년간 병이 진행하거나 재발하지 않은 채 생존하는 '5년 무사건 생존율'은 90%로, 치료 강도를 높이지 않은 환자들의 19%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2차 치료 후 미세잔존질환 양성이었던 환자들 역시 치료 강도를 높일 경우 생존율은 95.2%에 달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엔 75.4%였다.
김혜리 교수는 "미세잔존질환 수치를 기준으로 환자에 맞춰 치료 강도를 조정하면 재발 위험이 높은 소아 백혈병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블러드 리서치'(Blood Research)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