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9일 조간)

▲ 경향신문 = '2인 체제 위법' 무시한 최상목·이진숙, 법 위에 군림할 건가

"누가 진짜 피해자냐"는 교수들 일침, 전공의들 새겨야

고환율 속 고삐 풀린 생활물가, '뒷북 정부' 되지 말라

한 발짝 더 나아간 연금개혁… 여야, 국정 협치 계기로 삼길

계엄 이후 잦아진 군 사고… 기강 해이 다잡아야

▲ 동아일보 = "민감 자료 빼내가 민감 국가"… 단순 "보안 문제"는 아닌 듯

성장률 전망 석 달 새 0.6%P 추락… 추경은 대체 언제 하려고

민가 오폭 이어 무인기 사고… 훈련·작전 때마다 가슴 졸일 판

▲ 서울신문 = 與野, 탄핵 선고 전 연금 모수개혁 반드시 마무리하라

급기야 "韓 무역적자국" 콕 집은 美… 'FTA 딜' 대비해야

교수에 악플 테러 의대생들, 이 오만을 보고 있기 힘들다

▲ 세계일보 = 여야 '승복 공방'에 尹은 침묵, 이러니 민주주의 위기

'민감국가' 뒷북 해명한 정부, 헛다리 짚은 정치권 반성해야

서울의대 교수들 "전공의·의대생 오만", 더 이상 관용 안 돼

▲ 아시아투데이 = '민감국가 제외' 등 韓美현안 풀려면 尹 복귀 시급

마은혁 임시지위 신청 각하하고 임명 보류해야

▲ 조선일보 = "큰일 아닌데 큰일 만들어" 韓 정치가 하는 일

中과 같은 구조물 中 쪽에 설치해야

'줄탄핵'만 아니라 '줄일방처리'도 심각하다

▲ 중앙일보 = 당사자인 윤 대통령의 헌재 승복 약속이 핵심이다

'혁신 위한 메기' 돼야 할 사모펀드, 단기 차익만 좇나

▲ 한겨레 = 최상목 또 거부권, 자신은 헌법 어기면서 위헌 타령

갈 길 바쁜 추경·연금개혁, 더 서둘러야 한다

"전공의·의대생 오만" 의대 교수들 일침, 새겨들어야

▲ 한국일보 = '합의 처리' 문구 하나로 연금개혁 난항, 말이 되나

추방 위기 미등록 이주아동, 이대로 방치할 텐가

의대 교수 4인 성명, 의료 정상화 마중물 되길

▲ 글로벌이코노믹 = 美 '민감국가'에 한국이 포함된 이유

제조업 위기에 한국 성장률 낮춘 OECD

▲ 대한경제 = 공공 공사비 물가 현실화, 현실 외면한 생색내기 아닌가

건설·부동산경기 최악인데, 활성화 대책들 가로막는 국회

▲ 디지털타임스 = 복귀 거부 전공의·의대생들… 정부·대학은 단호하게 대처해야

美 `무역적자국` 찍힌 韓, `민감국가` 전철 밟아선 절대 안돼

▲ 매일경제 = 美 '민감국가' 지정후 벌어진 자해적 행태들

전투기 오폭 이어 헬기·무인기 충돌까지…나사 빠진 軍

K바이오 필승전략으로 저성장 위기 뚫을 수 있다

▲ 브릿지경제 = 토허제 해제와 재지정론, 성급함은 화를 부른다

▲ 서울경제 = 李 "전세 10년 보장은 시장 원리 어긋나"… 反시장법 이뿐인가

美 무역적자국 韓 지목, 일자리 기여 등 정교한 협상 전략 짜야

OECD 한국 성장률 대폭 하향, 돌파구는 기술 혁신이다

▲ 이데일리 = 꿈틀대는 부동산 시장, 더 요동치기 전에 수습해야

세대 갈등 부른 의·정 갈등… 그래도 교수들 고언이 맞다

▲ 이투데이 = 무역, 민감국가, 안보 패싱…대미 관계 총점검을

▲ 전자신문 = 디지털정부협회에 바란다

▲ 파이낸셜뉴스 = 美 연일 한국 공격, OECD는 성장률 1.5%로 내려

AI 인재 육성 급한데 의대 망국병 빠진 한국

▲ 한국경제 = 崔 권한대행 벌써 9번째 거부권, 여전한 민주당 입법 폭주

전공의 취업 동네병원들의 과잉 진료

지방 주택에 중과세 폐지 … 부동산 양극화 해소책 될 수 있다

▲ 경북신문 = 대통령 탄핵 선고 생중계?… 빨리 결정 해야

▲ 경북일보 = 구미 사립유치원 회계 부정, 이 정도라니

▲ 대경일보 = 헌법재판소는 탄핵심판을 선고해야 할 때

미국 국방장관의 한국 패싱, 방한 무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