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윤석열 '승복' 밝히고, 헌재는 '신속 심리' 약속 지켜야

'강남 토허제' 원위치, '선거용 선무당' 정책 없어야

'1.5도 방어선' 깨진 지구, 생존 위한 탄소감축 가속해야

최 대행에게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대표의 막말

의대생 집단휴학 불허 원칙 끝까지 지켜져야

▲ 동아일보 = '잠삼대청' 토허제 풀었다 되레 대폭 확대… 주민들 웬 날벼락

40개 의대 '집단 휴학' 불허, 의대생·전공의 이젠 돌아올 때다

삼성을 現 위기로 몰아넣은 사법족쇄 10년… 누가 책임지나

▲ 서울신문 = 헌재 압박에 "崔 몸조심" 겁박… 여야, 차분히 기다려야

다시 '토허제'… 한 달 만에 널뛰기하는 집값 정책이라니

수익만 챙기고 책임은 팽개치는 사모펀드, 이래도 되나

▲ 세계일보 = '토허구역' 해제 한 달 만에 확대지정 부른 졸속행정

'尹 파면' 독촉하는 野, 과도한 헌재 압박이다

우크라전 부분 휴전, 가속화할 북·러 협력 더 경계할 때

▲ 아시아투데이 = 李 대표의 '崔 대행 협박', 있을 수 없는 일

대통령 부재에 리스크 부각되는 안보와 경제

▲ 조선일보 = 최 대행에게 "몸조심하라" 협박 李, 할 말을 잊는다

처벌 대신 정치적·금전적 이득 보는 괴담 유포

외국인은 한국서 투표, 한국인은 외국서 투표 불가

▲ 중앙일보 = 토허제 한 달 만에 더 확대, 혼선 어떻게 책임질 건가

"최 대행 몸조심하라" 이재명 대표 발언 선 넘었다

▲ 한겨레 = 자명한 결론 두고 선고 늦추는 헌재, 혼란 키우지 말라

토지거래허가제 오락가락, 무책임한 오세훈 시장

핵무장론 멈추고 '민감국가' 4월 발효 저지 집중해야

▲ 한국일보 = 늦어지는 尹 선고… 헌재의 시간 존중하나 정치 고려 없어야

오세훈의 어설픈 소신에 서울 집값만 뛰었다

"최상목,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유력 대선주자가 할 말인가

▲ 글로벌이코노믹 = 컨테이너선 운임이 보내는 침체 신호

폐업 소상공인 100만 명 시대 해결책은

▲ 대한경제 = 결국 '토허제' 확대 재지정… 오 시장 성급함이 화불러

책임준공 개선안, '독박' 완화 기대되지만 모니터링 계속해야

▲ 디지털타임스 = 李, 崔대행에 "몸조심" 협박… 정치적 조급증 따른 막말인가

백기 든 吳, 토허제 재지정… `졸속 정책`이 부른 예견된 참사다

▲ 매일경제 = 의대생 복귀 안하면 원칙대로 … 국민도 참을만큼 참았다

보조금 빼먹기 역대 최대, 적발 못하는건가 안하는건가

토허구역 한 달 만에 확대 재지정, 뼈아픈 정책실패

▲ 브릿지경제 = 모수개혁이라도 먼저 해 '급한 불' 꺼야

▲ 서울경제 = 복귀 않는 의대생·전공의, 대안도 없이 피해자 행세만 할 건가

오락가락 정책에 불붙는 집값, 컨트롤타워 가동해 대처하라

여야 감세 경쟁 가열…세제 수술하되 세수 부족 고려해야

▲ 이데일리 = 병원 마당에서 구급차 분만… 응급의료가 응급 상태다

불붙은 여야 감세 경쟁, 세수 펑크에는 왜 말이 없나

▲ 이투데이 = 의료·교육 현장 떠난 이들에겐 무관용뿐이다

▲ 전자신문 = 같은날 AI칩 성장 내다본 韓美기업

▲ 파이낸셜뉴스 = 미복귀 의대생 제적 확정, 더는 관용 베풀지 말라

부동산 정책 실패 자인한 정부, 집값 안정에 최선을

▲ 한국경제 =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LG '엑사원 딥'

본인은 신변 위협 호소 … 최상목엔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강남 3구·용산 전체 거래허가제, 과잉 규제 아닌가

▲ 경북신문 = APEC 성공여부는 결국 경주시민의 노력에 있다

▲ 경북일보 =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대책 신속 시행을

▲ 대경일보 = 어린 여배우의 죽음과 우리의 책임

美 '민감국가' 지정의 심각성과 정부의 책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