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사회공헌활동 강화하는 제약업계

"내년 ESG 공시 의무화…기업가치평가 핵심 요소로"

  제약 기업이 업계 장점을 살린 사회공헌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재난 현장에 의약품을 기부하거나 특정 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타 업계와의 협업에도 적극 참여하는 모습이다.

 유한양행은 산불로 화상을 입은 동물 치료를 지원한다.

 동물구조단체 '위액트'에서 산불 피해 동물을 동물의료센터로 이송하면 유한양행이 협력사 리센스메디컬과 함께 화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의료기기 등을 제공한다.

 희귀질환 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환자 지원에도 한창이다.

 SK플라즈마와 JW중외제약은 17일 세계 혈우인의 날을 기념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양사는 각각 혈우병 환우를 위한 헌혈을 실시하고 여성 혈우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영상을 제작했다.

 한독은 2월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한국혈액암협회에 헌혈증 450장을 기부했다.

 전달된 헌혈증은 수혈이 필요한 희귀질환 및 혈액암 환우를 위해 사용된다.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협업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대웅제약은 한국건강검진기관협의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 기기를 의원급 의료기관에 공급한다.

 웨어러블 심전도 검사 기기 '모비케어' 등을 한기협 회원 기관에 공급해 의원 검진에서도 정밀 검진을 시행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HK이노엔은 어업인 의료 접근성 개선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HK이노엔은 원격진료 서비스 '비대면 섬 닥터' 사업의 기금 출연과 임직원 봉사활동 등을 추진한다.

 이 같은 활동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수상으로 이어진 사례도 적지 않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글로벌 상위 5% 기업에 선정됐다.

 CSA는 전 세계 약 7천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평가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희귀질환 인식 개선, 환자 치료 접근성 개선 등에 기여한 공로로 질병관리청장 표창을 받았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사회공헌활동을 더 강화할 전망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는 "내년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제약 기업의 ESG 역량이 기업가치 평가 및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