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2일 조간)

▲ 경향신문 = 평화·약자 보듬고 종교 역할 일깨운 '프란치스코의 유산'

대선 출마 간보는 한덕수, '저자세' 관세 협상 손 떼라

정부의 무능과 무기력이 자초한 의료계의 오만

공군의 잇단 안전 사고… 기강 해이 바로잡아야

▲ 동아일보 = 韓 출마 "노코멘트" … '정치 저울질'하며 '국익 지키기' 잘 될까

李 "성장 우선" 이라더니 더 독한 상법으로 기업 족쇄 채우나

국힘, 탄핵 놓고도 사분오열인데 '빅텐트' 추진 제대로 될까

▲ 서울신문 = 관세전쟁 손도 못 썼는데 수출 감소… 2+2협의 정교해야

'尹 사저 정치' 손절 없인 국힘 중도확장 가망 없다

李 "코스피 5000 시대"… 더 세진 기업 족쇄법으로 어떻게

▲ 세계일보 = "차기 대통령 최우선 과제는 경제"… 후보들 명심하길

대선 출마 저울질하며 권한대행 업무 제대로 하겠나

24일 한·미 2+2 관세 협상, 트럼프 변칙 공세 대비해야

▲ 아시아투데이 = 국힘, 자유민주주의 당 정체성 세울 후보 뽑아야

개헌 미온적인 李, 대통령실 충청이전 하겠다니

▲ 조선일보 = 벌써 대미 수출 14% 격감, "어두운 터널 시작"

李 "상법 개정해 주가 5000" 기업 분발 없이 가능할까

'키 높이 구두' '생머리냐' 수준 이하 국힘 경선

▲ 중앙일보 = '빈자들의 벗'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기고 간 것

키높이 구두나 물어보는 국민의힘 경선

▲ 한겨레 = 평화 꿈꾼 교황 뜻 이어받아 '전쟁없는 세계' 실현해야

잇따른 '세종 이전' 약속, 대선 표심용으로 끝나선 안돼

반성 없는 '내란죄 피고인' 윤석열, 재구속이 마땅하다

▲ 한국일보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포용과 평등의 유산 기억해야

한 대행, 공정한 대선 관리 소임 다하는 게 정도

서해 구조물 알박기하면서 시진핑 방한 추진하나

▲ 글로벌이코노믹 = 미국 농산물 개방 압박 대비책 있나

다자주의 연대 필요한 아세안 시장

▲ 대한경제 = 정부·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이 지반침하 사고 막는다

최저임금 논의 시작… 업종별 차등 적용 실현해야

▲ 디지털타임스 = '가난한 자의 벗'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우리 안에 살아 있다

늪에 빠진 국힘… 尹 "정치 손떼겠다" 선언만이 보수 살길이다

▲ 매일경제 = 경제 버팀목 수출마저 둔화…마이너스 성장 대비해야

'코스피 5000' 열겠다는 李, 기업 성장없인 불가능한 일

계엄책임론으로 치고받는 국힘 후보들, 국민은 관심없다

▲ 브릿지경제 = 기재부 분리론, 타당성 갖춘 대안인지 더 살펴보라

▲ 서울경제 = 美 '비관세 장벽' 압박…협상 서둘지 말고 '韓 거취' 명확히 해야

反시장적 입법 강행으로 '코스피 5000' 가능하겠나

"세종 시대" …국회 이전은 선거용 아닌 사회적 합의 거쳐야

▲ 이데일리 = 제로 성장 고착화… 구조개혁을 말하는 후보는 왜 없나

유권자 눈 흐리는 딥페이크, 강력 단속하고 처벌해야

▲ 이투데이 = '주가 5000시대', 상법 개악해 열 수 있겠나

▲ 전자신문 = 원로가 닦은 길, 한국형 AI로 넓혀야

▲ 파이낸셜뉴스 = 대미 관세협상 속도조절로 상호 균형점 찾길

'적과의 동침'으로 美 관세 맞선 현대차-포스코

▲ 한국경제 = 미군 2만8000명 주둔 국가에서 나오는 자국 병력 감축론

21㎞ 하프마라톤 완주한 中 로봇 … 걱정만 하고 있을 때 아니다

'더 센' 상법 띄울 거면 노동개혁도 해야 균형 맞지 않겠나

▲ 경북신문 = 국민의힘, 한덕수 등판 변수?… 후보 단일화 주목

▲ 경북일보 = 의대 증원 원점…지역·필수의료 개혁 멈춰서야

▲ 대경일보 = 전자담배 위해성 규명해 국민불안 해소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