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美 암연구학회서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 2건 공개

차세대 면역항암제·EGFR 단백질 분해제 연구 결과 공개

 제약바이오기업 HK이노엔(HK inno.N)은 지난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석해 두 건의 항암신약 물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차세대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PK1 저해제(IN-122517)와 동아ST와 공동 개발 중인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선택적 분해제(IN-207039, SC2073)에 대한 연구결과다.

 EGFR 분해제는 HK이노엔과 공동개발 중이다. IN-122517은 T세포를 비롯한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항암 작용을 유도하는 물질로, 내년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HK이노엔은 학회에서 대장암 동종이식모델(syngeneic models)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IN-122517이 항체면역항암제(anti-PD-1) 단독요법 대비 높은 항암 효능을 보였으며, 병용투여 시 종양이 완전관해에 이르렀고 투여 중단 후에도 지속적인 면역 기억반응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HK이노엔 김봉태 신약연구소장은 "자체 개발뿐 아니라 공동개발을 통해 다양한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발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기회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