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모기가"…말라리아 환자 이달 들어 큰 폭 증가

3월 8명→4월 37명…경기도, 매개 모기 감시사업 착수

 이달 들어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30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올해 1∼4월 발생한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55명이다.

 1년 동안 환자 수가 713명이었던 지난해 1∼4월 34명보다 많고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747명의 환자가 발생했던 2023년 1∼4월 52명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아직 단언하기는 이르지만 현재의 추세라면 올해 말라리아 환자 수는 3년 연속 700명대를 기록할 우려가 있다.

 국내 말라리아는 통상 5월부터 감염병을 매개하는 중국얼룩날개모기의 개체수가 급증하며 6∼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2001년에 2천556명이 발생해 가장 많았으며 이후 1천∼2천명을 유지하다 2011년 826명으로 떨어진 뒤 500~600명 수준으로 확연히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한 2020년과 2021년에는 385명, 294명까지 줄어든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며 야외활동이 증가하기 시작한 2022년부터 환자가 다시 증가해 2022년 420명에서 2023년 747명으로 늘었으며, 지난해 역시 700명을 넘겨 713명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2008∼2011년 남북 공동방역을 하면서 급격히 줄었던 말라리아 환자 수가 2012년 이후 남북 관계 경색에 따른 말라리아 방역물품 지원사업 중단과 기상 이변 등이 겹치면서 다시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파주, 고양, 김포 등 경기 서북부를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85%가량 발생한다.

 파주의 경우 지난해 150명의 환자가 발생해 전국 환자의 20%를 차지했다.

 이에 경기도는 말라리아 환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 올해 말라리아 관련 예산을 말라리아 다발 지 역인 파주, 고양, 김포 등 3개 시에 집중적으로 배정했다.

 또 이달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매개 모기 감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류 암컷에 의해 전파되는 삼일열 말라리아다.

 열대지방의 열대열 말라리아와는 달리 치사율은 낮은 편이나 오한, 발열, 두통, 심한 피로 등 증상을 유발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내달 23일까지 양·한방 협진 5단계 사업 참여기관 공모
보건복지부는 다음 달 23일까지 양·한방(의한) 협진 5단계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관을 공모한다고 30일 밝혔다. 환자가 한 날에 같은 질환으로 의과, 한의과 진료를 모두 받을 때 후행 진료는 전액 본인이 부담하는데, 시범사업을 통해 후행 진료도 통상적인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시범사업 참여 기관은 최초 협진 시 '1차 협의 진료료'를 받고, 이후 경과 관찰이 필요해 진료를 이어가면 '지속 협의 진료료'를 받는다. 협의 진료료란 의사와 한의사가 협의해서 하는 진료행위에 대한 수가(의료서비스 대가)로, 1회에 1만5천원∼2만1천원가량이 의과·한의과에 각각 산정된다. 협의 진료료 대상 상병은 대상포진, 2형 당뇨병, 치매, 협심증, 뇌경색증 등 총 41개다. 5단계 시범사업 신청 대상 기관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중 의과·한의과 진료과목을 동시에 개설·운영하는 기관, 또는 동일 대표자가 개설한 동일 소재지의 의과·한의과 기관으로 의·한 협진이 가능한 진료체계를 갖춘 기관이다. 5단계 시범사업 참여를 원하는 기관은 모집 공고를 참고해 5월 23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청서와 관련 서류 등을 제출하면 된다. 복지부의 선정위원회 평가를 통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