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9일 조간)

▲ 경향신문 = 정년연장 '노사 자율'로 하자는 공익위원들 무책임하다

친윤 '후보 교체'·김문수 '법적 분쟁', 이런 단일화 왜 하나

법원 제동에도 韓 원전 계약 승인한 체코 정부

민주당의 과도한 사법권 침해, 여기서 멈춰야

▲ 동아일보 = "알량한 후보" "대국민 사기극"… 막장으로 치닫는 국힘 내홍

민주 "조희대 사퇴" "대법관 청문회"… 도를 넘는 사법 압박이다

韓 교사 능력 OECD 하위권… 교육의 질은 교사 수준 못 넘는데

▲ 서울신문 = 단일화 놓고 법적 분쟁까지… 국힘, 대선 포기할 셈인가

사법권이 주머니 속 공깃돌… 민주, '삼권귀일' 비판 못 듣나

미등록 이주아동 2만명… 이런 '국력 낭비' 방치해서야

▲ 세계일보 = 당·후보 초유의 충돌 사태, 파국 치닫는 국힘 단일화

민주 '조희대 겁박' 중단하고, 대법은 내부 혼란 수습해야

"15년 뒤 잠재성장률 0%"… 퍼주기 공약 남발할 때인가

▲ 아시아투데이 = 김문수, 초심으로 돌아가 나라 살릴 결단 내리길

대법원장을 국회 증인석 세우려는 민주당의 횡포

이재명 재판 연기, 법원의 백기투항 아닌가

▲ 조선일보 = 단일화 난장판, 대선 포기하고 당권 투쟁 하나

왕조 국가 방불케 하는 이재명 방탄 법안들

10년 앞당겨진 '성장률 0%', 포퓰리즘의 결과

▲ 중앙일보 = 당과 후보 이전투구, 국민의힘 이러고도 표 달라 하나

대법원장 특검까지 … 민주당의 사법부 공격 과도하다

▲ 한겨레 = '강제 후보 교체' 나선 국힘, 이러려면 경선은 왜 했나

KDI 잠재성장률 1.5%로 대폭 하향, 구조개혁 속도내야

강화되는 중-러 협력, 다극시대 '전략적 자율성' 키워야

▲ 한국일보 = 국민의힘 단일화 자중지란, 대선 안중에나 있나

허위사실 '행위' 뺀 민주당 선거법안… 지금 이 시기에

15년 뒤 잠재성장률 마이너스 추락 경고… 막을 대비책 있나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경제사령탑 공백에 멈춰선 대한민국… 미래도 불투명하다

고속도로 노후화 가속, 제 때 유지·보수 하려면 통행료 올려야

▲ 디지털타임스 = 李 "경제회복 핵심은 기업"… 진심이면 노란봉투법부터 접어야

혈세 5000억 지원받고도 파업 운운… 서울 버스노조 도 넘었다

▲ 매일경제 = 진흙탕 빠진 국힘 단일화, 국민 피로감만 키운다

경사노위 계속고용 절충안, 대선주자들도 진지한 고민을

李, 연일 퍼주기 공약…선거 후도 생각해야

▲ 브릿지경제 = 금리 인하로 '역성장 충격' 대응이 맞는 방향이다

▲ 서울경제 = '잠재성장률 마이너스' 경고 … 퍼주기 멈추고 구조 개혁 나서라

단일화 진흙탕 싸움, 원칙·약속 어기면서 표 달라고 할 수 있나

법치 지키려면 다수당의 사법부 겁박·입법 폭주 더 없어야

▲ 이데일리 = 힘 합쳐도 모자랄 판에 국제분쟁까지 간 한전·한수원

경제전쟁, 무력분쟁… 격변기 넘어설 리더십 안 보인다

▲ 이투데이 = '주 4.5일·정년연장' 공약 선풍… 나라 망가져도 괜찮다는 건가

▲ 전자신문 = 국가AI센터, 정부가 통크게 책임져라

▲ 파이낸셜뉴스 = 잠재성장률 역성장 경고, 멈춘 구조개혁 재시동을

"중심은 기업" 재강조한 李후보 언행일치 보여야

▲ 한국경제 = 경제 5단체장 만난 李, 행사치레에 그쳐선 안 돼

두 후보·당 지도부·탈락자들까지 뒤엉킨 단일화 '육박전'

"잠재성장률 제로"라는 끔찍한 경고 … 구조개혁 더는 미룰 수 없다

▲ 경북신문 = 국민의힘 VS 더불어민주당… 공당 맞나

▲ 경북일보 = 지역경제 살리기·산불피해 복구 총력 쏟아야

▲ 대경일보 = 어버이날, 김정재 국회의원의 '입법 효도'

존경받는 스승과 국가지도자의 역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