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문턱에 선 조류인플루엔자…반려동물 감염 주목해야"

의기협·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조류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위험성 포럼 개최

조류인플루엔자(AI)의 이종(異種) 간 감염이 증가하면 사람에게 전파되기 쉬운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해 코로나19에 이은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남중 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와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강원택)이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서 개최한 '조류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위험성과 대응 전략' 포럼에서 조류인플루엔자의 종간 전파 위험성을 이같이 진단하고 팬데믹 발생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된다. 이중 인체에 감염되는 건 고병원성인 H5N1형이다.

H5N1형은 1959년 처음 발견된 이후 가금류와 야생조류를 중심으로 확산해왔지만, 최근 들어 포유류와 사람에게 전파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젖소, 고양이, 양, 개 등으로 옮겨간 사례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영국과 멕시코 등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사례가 추가로 확인됐다.

김남중 교수는 "조류인플루엔자가 가금류와 야생조류에서 포유류로 종간 장벽을 넘어서는 '스필오버'(spillover) 현상과 포유류에서의 감염이 증가한다면 사람 간 전파가 쉬운 변이 바이러스 출현 가능성이 커진다"며 "만약 유전자 재편성으로 바이러스 변이가 일어날 경우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조류인플루엔자에 의한 팬데믹 위험성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운 만큼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향후 반려동물에 의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 감염이 확산할 우려도 제기됐다.

송대섭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조류인플루엔자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동물에서 감염 사실이 확인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우려스러운 대목은 사람과 늘 함께하는 고양이와 개 등의 반려동물에서 감염이 늘고 있는 점"이라고 짚었다.

그는 "고양이의 경우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뿐만 아니라 뇌까지 침투한 사례도 있었다"면서 "무엇보다 반려동물의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중 대부분이 식별할 수 있는 증상이 없어 인체 감염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이 어려운 게 문제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다행히 국내 인체감염이 아직 발생하지 않았지만, 포유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매년 꾸준히 확인되고 있는 만큼 팬데믹 위험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여상구 질병관리청 신종감염병대응과장은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방지를 위해 정부 부처는 물론 의료기관, 공항검역소 등과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미 수립한 국가비축물자 중장기계획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조류인플루엔자 대비 체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