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예방 위한 자궁경부봉합술, 24주 이후 하면 조산위험 18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분석…"학회 기준 따라 신중하게 수술 선택해야"

 '조산 예방'을 위해 하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을 임신 24주 이후에 받으면 조산율이 약 18배 증가하고 출생아 뇌성마비 위험도 19배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소속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교수 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내용의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보고서 내용을 최근 발표했다.

 자궁경부봉합수술이란 느슨해진 자궁 입구를 묶어 주는 것으로, 자궁이 일찍 열려 태아를 싸고 있는 양막이 빠져나오는 자궁경관무력증 등의 사례에서 시행된다.

 또한 지침은 첫 번째 임신에서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나, 출산하더라도 태아가 생존할 수 있는 24주 이후의 경우는 수술의 적응증(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다태아 비율이 증가해 고위험 임신이 늘어나자 국내에서 자궁경부봉합술이 조산 예방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적응증을 벗어난 수술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팀이 유산·사산·조산 경험이 없으며 첫 아이를 낳은 임신부 중 자궁경부봉합수술을 받은 289만6천271명의 2005∼2019년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 지침상의 권고에 어긋나게 임신 24주 이후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산율이 17.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의 뇌성마비, 자폐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생 위험은 비수술군에 비해 각각 19.3배, 2.3배, 1.7배 높았다.

  또 16주 이전에 수술을 한 경우에도 조산율은 3.2배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적응증이 아닌 경우의 예방적 자궁경부봉합술은 임산부나 출생아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임신부는 학회 권고 기준에 따라 신중하게 수술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퍼진 '자궁경부봉합술이 부작용 없이 조산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정보는 잘못된 것이라며 의료진의 정확한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