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예방 위한 자궁경부봉합술, 24주 이후 하면 조산위험 18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분석…"학회 기준 따라 신중하게 수술 선택해야"

 '조산 예방'을 위해 하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을 임신 24주 이후에 받으면 조산율이 약 18배 증가하고 출생아 뇌성마비 위험도 19배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소속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교수 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내용의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보고서 내용을 최근 발표했다.

 자궁경부봉합수술이란 느슨해진 자궁 입구를 묶어 주는 것으로, 자궁이 일찍 열려 태아를 싸고 있는 양막이 빠져나오는 자궁경관무력증 등의 사례에서 시행된다.

 또한 지침은 첫 번째 임신에서 자궁 경부의 길이가 짧은 경우나, 출산하더라도 태아가 생존할 수 있는 24주 이후의 경우는 수술의 적응증(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평균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다태아 비율이 증가해 고위험 임신이 늘어나자 국내에서 자궁경부봉합술이 조산 예방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적응증을 벗어난 수술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팀이 유산·사산·조산 경험이 없으며 첫 아이를 낳은 임신부 중 자궁경부봉합수술을 받은 289만6천271명의 2005∼2019년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 지침상의 권고에 어긋나게 임신 24주 이후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수술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산율이 17.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의 뇌성마비, 자폐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생 위험은 비수술군에 비해 각각 19.3배, 2.3배, 1.7배 높았다.

  또 16주 이전에 수술을 한 경우에도 조산율은 3.2배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적응증이 아닌 경우의 예방적 자궁경부봉합술은 임산부나 출생아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임신부는 학회 권고 기준에 따라 신중하게 수술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퍼진 '자궁경부봉합술이 부작용 없이 조산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정보는 잘못된 것이라며 의료진의 정확한 정보 제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