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교권 침해·교원 이탈로 우울한 교단, 희망과 사기 높여야

윤석열이 후퇴시킨 성평등, 대선서도 뒷전인 여성 의제

尹 탈당 논란 직면한 국힘… 탄핵의 강 건너 쇄신 나서야

트럼프 잇단 동맹 경시, 韓 경제 가치 제대로 인식시켜야

▲ 동아일보 = 제조업 고용 6년 만에 최대 감소… '일자리 대선' 시동 걸어야

삼성전자 9년 만에 兆 단위 M&A… 혁신과 변화의 기폭제로

'기적의 계산법' 룸살롱 접대 검사들 5년 만에 '눈속임 징계'

▲ 서울신문 = 조희대 특검, '실형' 법원 난동 법치 훼손과 뭐가 다른가

'尹 절연' 않고 영남부터 공들인 김문수, 방향 맞나

심각해진 제조업 공동화… 노동·규제개혁이 해법이건만

▲ 세계일보 = 대법 판결 불만에 민주가 꺼내 든 '4심제'는 명백한 위헌

'서부지법 난동자' 실형 선고, 정치 폭력 근절 계기 삼길

KDI 올해 0%대 성장 전망, 관세 충격부터 최소화해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헌정질서 파괴하는 사법부 장악 시도 멈춰야

"자유민주주의 지킬 대통령 뽑자"는 금식기도회

▲ 조선일보 = 사법부를 발아래 두려는 민주당 반헌법 폭주

李 후보, 동아시아 엄중 정세 쉽게 보다 큰일 날 것

尹은 탈당하고 金은 검찰 조사받길

▲ 중앙일보 = 윤석열 이제야 자진 탈당? 늦어도 한참 늦었다

법원을 응징·보복한다는 집착은 참혹한 결과 낼 뿐

▲ 한겨레 = '윤석열 대리인'이 김문수 선대위에, 뭐 하자는 건가

여성 의제 실종된 대선, 그 이유가 뭔가

'선거개입'에 '향응' 의혹까지, 사법부 총체적 불신 직면

▲ 한국일보 = '성평등 공약' 실종에 막말까지… 시대 역행하는 대선

尹부부의 동떨어진 인식… 국민 양식 맞게 처신해야

한국 부동산 사들이는 중국, 상호주의 지켜져야

▲ 글로벌이코노믹 = 금융권 자본성 증권 조기상환 리스크

아시아 환율 파동과 '보이지 않는 손'

▲ 대한경제 = 건설공사 지연이 한몫한 KDI의 0%대 성장률 전망치

건설업 취업자 12개월 연속 감소, 이러다 생태계마저 무너질라

▲ 디지털타임스 = 대법원 위에 헌재 두려는 민주당… 사법부 찬탈 시도 아닌가

대선 후보들에게 경제 경각심 주는 KDI '0%대 성장전망'

▲ 매일경제 = 건보재정 좀먹는 병원 '실손 영업', 이젠 책임 물어야

삼성전자 미래먹거리 M&A가 반가운 이유

제조업 취업자 6년래 최대 감소 … 새 정부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 브릿지경제 = 주 52시간제 유연화가 진정한 '실용' 아닌가

▲ 서울경제 = 쏟아지는 현금 지원·감세 공약, 재원 마련 대책은 안 보인다

대법 겨냥 청문회·특검·입법 폭주 … '李 판결 보복' 비판 안 들리나

제조업·청년 취업 최악, 反기업 족쇄 제거해야 해법 찾는다

▲ 이데일리 = 비대면진료 환자 95%가 만족… 시범사업만 하다 말 건가

기술 자립 시동 건 'K원전 팀', 조기 성과를 기대한다

▲ 이투데이 = 獨 100년 기업 플랙트 M&A… '다시 뛰는 삼성' 견인차 되길

▲ 전자신문 = AI 脫규제가 국회 책무다

▲ 파이낸셜뉴스 = 삼성 兆단위 빅딜, 이런 역동성이 위기 이겨낼 힘

최악의 고용시장, 구조개혁과 연계로 해결해야

▲ 한국경제 = 노조 몽니로 결국 정리 수순 접어든 MG손보

37년째 시범사업만 하는 비대면진료, 한국은 왜 이 모양인가

KDI도 0%대 성장 전망 … 구조개혁 없이 저성장 못 막는다

▲ 경북신문 = 범보수 진영 단일화… 마지막 변수로 등장?

▲ 경북일보 = 포항지진 2심, 국가 책임 외면한 황당 판결

▲ 대경일보 = 인도 파키스탄 휴전을 환영한다

교권 침해 방지 위한 제도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