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9일 조간)

▲ 경향신문 = '대통령 4년 연임' 개헌안 제시한 이재명, 실행이 관건이다

반성·사죄 없는 윤석열 탈당, 이래서 '탄핵의 강' 건너겠나

美의 잇단 주한미군 역할 조정 목소리, 경각심 가져야

▲ 동아일보 = 대선후보 첫 TV토론… '성장'엔 공감 '노동'엔 이견

통상협상 李 "속도 조절" 金 "기한 내 타결" … 국익 극대화가 기준

李 "4년 연임제, 국회 총리 추천" … 관건은 의지와 실천

▲ 서울신문 = 예상 답변 속 국민 체증 못 풀어준 첫 대선 TV토론

李 "연임제 개헌", 선거용 구색 맞추기 아니어야

탈당 尹 못 끊는 국힘, '소확행 영남당' 되자는 것

▲ 세계일보 = 李의 개헌 구상 제시, 대선용 공약에 그쳐선 안 돼

궁지 몰린 尹 뒷북 탈당, 반성도 사과도 없었다

美 "한국은 日·中 사이 항모"… 우리도 플랜B 세워야

▲ 아시아투데이 = 金 40% 돌파, 尹 희생적 탈당 후 통합세 강해질 듯

탄핵폭주 견제 없는 李 개헌안… 金 '협약' 제안

▲ 조선일보 = 李도 개헌 약속,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 합의 이루길

尹 탈당, 국힘 쇄신의 끝 아닌 시작 돼야

"커피 원가 120원" 현실 알고 하는 말인가

▲ 중앙일보 = 이·김 두 후보 개헌 제안, 진정성 있는 논의로 이어져야

나랏빚 급증에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남 일 아니다

▲ 한겨레 = '87년 체제' 극복할 개헌, 국민적 의지 모아 성사시켜야

완벽한 내란 청산이 5·18 정신이다

분배 정책·재원조달 방안 충분히 제시 못한 첫 TV토론

▲ 한국일보 = 국익 걸린 한미 협상 두고 분열상 드러낸 대선 후보들

이재명·김문수 개헌안, '제왕적 대통령' 막을 마중물 되길

여전한 5·18 폄훼, 보수가 살려면 '민주화 정신' 존중부터

▲ 글로벌이코노믹 = 제조·건설 부진에 남성 고용률만 악화

경제성장 돌파구, AI 전환서 찾아야

▲ 대한경제 = 정권 초월해 주택시장 안정화 위해선 공급확대가 답이다

진정성 없는 尹의 탈당, 광화문 앞에서 석고대죄도 불사해야

▲ 디지털타임스 = 李, '대통령 4년 연임' 개헌 제안… 진정성이 관건이다

제조업 고용 역대 최악… 대선 의제 1순위 '일자리' 돼야

▲ 매일경제 = 6·3대선 후 인수위 설치 필요하다

李 개헌안에 金도 역제안… 국회는 당장 특위 가동하라

美 신용등급 강등 부른 부채위기, 남의 일 아니다

▲ 브릿지경제 = 유통업계가 대선 이후 걱정하는 일 없어야 한다

▲ 서울경제 = 대선 TV토론, 저성장 극복 위한 구조개혁 실천 방안 내놓아라

李 "4년 연임 개헌"…사법부 겁박 멈추고 '권력 분산' 추진해야

국힘 '尹 무늬만 탈당' 비판 안 나오게 실질적 절연 나설 때다

▲ 이데일리 = 고령화 대응에 장점 많은 주택연금, 적극 활성화해야

나랏빚이 끌어내린 美 신용등급, 강 건너 불 아니다

▲ 이투데이 = 또 들썩이는 영끌·빚투, 국민도 정부도 경각심 높일 때

▲ 전자신문 = ESG, 공기관 사명감 갖고 실천해야

▲ 파이낸셜뉴스 = 세계는 원전 바람, 탈원전 복귀는 절대 없길

대통령 권한 통제, 국회 특권 폐지 동시 추진해야

▲ 한국경제 = 尹 전 대통령 탈당 … 보수정당 전면 쇄신 계기로 삼아야

HBM 기술까지 노리는 중국 … 경각에 달린 산업 보안

특권 삭감 없이 '국회 권력 비대화'만 보이는 이재명 개헌카드

▲ 경북신문 = 대선후보들의 에너지 정책… 친 원전정책 무게

▲ 경북일보 = 18년 표류 영일만대교…대선후보 관심도 없나

▲ 대경일보 = 李 후보, 홍 前시장 총리 제안 환영한다

노인 연령기준 상향 대하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