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내란 비화폰·국무회의 영상' 실체 밝혀 윤석열 재구속하라

홍범도 흉상 육사 존치, '윤석열 역사 쿠데타'도 실패한 것

노인 고용률 세계 최고라지만, 양질의 일자리 절실하다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눈앞… 이제는 보존이다

▲ 동아일보 = '이런 황폐한 풍토서 정치 개혁 될까' 묻게 한 대선 TV토론

출국 금지된 한덕수-최상목…계엄 당일 어떻게 했길래

과학 석학 62% "해외 영입 제안받아" …있는 인재도 다 내줄 판

▲ 서울신문 = 정책 아닌 비방으로 끝난 TV 토론… 뭐로 검증하나

선관위, 사전투표 부정 시비 철저히 차단해야

10년 만에 제조업 석권 中… 韓 대선에선 뜬구름, 올가미뿐

▲ 세계일보 = 문·낙 연대로 끝나가는 빅텐트, 국민 호응 얻겠나

한덕수·최상목 계엄 당일 언행 의문점 명확히 밝혀야

中 스파이 활개, 간첩법 개정 더는 미적대면 안 돼

▲ 아시아투데이 = 대선변수로 등장한 김문수-이낙연 '독재 저지' 연대

경제공약, 잘 비교해서 현명하게 선택해야

▲ 조선일보 = 정치 보복에 사법 위기, 거리로 나선 법조 원로들

中 제조 굴기 10년, 韓 멈춰선 10년

여기저기 다 구멍, 안보 방치·포기한 나라 같다

▲ 중앙일보 = 대선 TV토론 이런 식으론 안 된다

노인 고용률 1위의 그림자…생산적 시니어 활용안 찾아야

▲ 한겨레 = 윤상현 선대위원장 임명, 지지층만 보기로 작정했나

이젠 우리도 '문민 국방장관' 가질 때다

'비화폰 삭제', '한덕수 늑장 출금', 부실투성이 내란 수사

▲ 한국일보 = K핵심산업 경쟁력 회복이 새 정부 최우선 과제 돼야

李 "협치 복원" 金 "통합 정치" 반드시 실천하길

진술과 달랐던 계엄의 밤 CCTV… 엄정 수사로 실체 밝혀야

▲ 글로벌이코노믹 = 무너진 경제성장 동력, 살릴 방법 있나

디지털 주권 보호, 국정 최우선 과제다

▲ 대한경제 = 건축사 93.9%가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설계공모제

민참사업, 공공 책임은 없고 민간 리스크만 있어선 곤란하다

▲ 디지털타임스 = 물 건너간 단일화… 대선 패배시 책임 전적으로 국힘에 있다

'첨단산업 굴기' 中… 누가 대통령 되든 반도체 회생 최우선해야

▲ 매일경제 = 나라 어려울 때 기업호감도 역대 최고

단일화 결렬로 대선 3자 구도…다음 대선부터는 결선투표를

주력산업 무더기 수출 역성장…산업재편 더 미룰 수 없다

▲ 브릿지경제 = 차기 대통령, 비관세 장벽 문제도 풀 수 있어야

▲ 서울경제 = AI發 대격변 시대, 새 정부 '강국 도약' 구체적 로드맵 제시하라

李 이어 金도 '선거용 추경' … 대선 후 적정 시기·규모 검토해야

삼권분립 수호·의원 특권 축소 중심으로 정치 복원 나서라

▲ 이데일리 = 공약대로면 나랏빚이 GDP 2배라니… 뒷감당 누가 하나

3기도 기약 없는데 '4기 신도시'… 희망고문 아닌가

▲ 이투데이 = 올해만 7000만원 오른 서울아파트, 경각심 가져야

▲ 전자신문 = 과기·ICT와의 약속 새겨야

▲ 파이낸셜뉴스 = 관심 커진 사전투표, 공정·투명 관리에 혼신 다해야

기업호감도 역대 최고, 족쇄 풀면 더 높아질 것

▲ 한국경제 = "국방 장관에 민간인" … 문민통제 필요하지만 투철한 안보관이 기준

"최악의 대선 공약은 주 4.5일제" … '노동시장판 퍼주기'라는 얘기

기업들 자금난 가중 … 채권·부동산PF 펀드 즉각 가동해야

▲ 경북신문 = 국민의 힘, 제정신인가… 선거 종반 당권 싸움?

▲ 경북일보 = 동국제강도 첫 셧다운, 철강산업 보호 급하다

▲ 대경일보 = 주한미군철수 논란에 대해

정치적 이유로 중단할 수 없는 법원 개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