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림 삼성바이오 대표 "제3캠퍼스 추진…좋은매물 있으면 M&A도"

"송도 제3바이오캠퍼스 부지 단독 입찰…인적분할로 이해상충 해결"
"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 지속 확장…연 매출 성장 전망 20∼25% 유지"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제3바이오캠퍼스를 통해 생산능력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좋은 매물이 있으면 인수·합병(M&A)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7일(현지시간) 존 림 대표는 미국 보스턴에서 개막한 바이오 전시회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행사장 인근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13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해 바이오 USA에 참석하고 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능력은 총 78만4천리터(L)다. 제2 바이오캠퍼스에 있는 18만리터(L) 규모 5공장은 4월 가동을 시작했다.

 6공장은 준비를 마치고 이사회 승인을 기다리는 단계다. 항체·약물 접합체(ADC) 생산 시설도 가동하며 수주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존 림 대표는 전했다.

 2032년까지 제2 바이오캠퍼스를 완성해 132만4천리터 생산능력을 갖추는 게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다.

 이처럼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배경에는 위탁개발생산(CDMO)에 대한 글로벌 수요 증가가 있다고 존 림 대표는 설명했다.

 그는 "기존 항암에 이어 신경계 질환, 항노화 등 분야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다"며 "단일클론항체(mAb)뿐 아니라 이중 항체, 3중 항체 관련 관심도 높다"고 했다.

 그러면서 "CDMO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캐파(생산능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가노이드, ADC,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접합체(AOC) 등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거점 확대에도 주력하겠다고 존 림 대표는 전했다.

 그는 인수·합병(M&A)에 대해서도 "좋은 매물이 있으면 진행할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앞서 한 글로벌 기업 인수를 검토한 바 있다고도 언급했다.

 존 림 대표는 인적분할을 통해 이해상충 문제가 해결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달 CDMO와 바이오시밀러 사업 분리를 위해 인적분할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 바이오시밀러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홀딩스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한 데 대해 "밸류업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 고객사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라는 데 대해 이해상충 문제를 제기해왔다"며 "많은 회사가 자사 물량을 생산할 때 복제약은 만들지 말라는 조항을 내세웠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인적분할은 내가 직접 제안한 사안"이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CDMO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존 림 대표는 중동 전쟁, 미국 관세 이슈 등으로 CDMO 시장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서도 "올해 연 매출 가이던스 20∼25%를 유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금액은 187억달러다.

 존 림 대표는 올해 바이오 USA에 대해서는 "고객사와 미팅을 계속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