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이 근육·뼈 노화 막는다

생명연·전남대, 노화에 따라 변하는 'CLCF1' 단백질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양용열 박사와 전남대 김낙성 교수 연구팀은 운동 중 분비되는 단백질 'CLCF1'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근골격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혈액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인 '마이오카인'은 지방 분해 촉진, 뼈 형성 증가, 인슐린 감수성 개선, 염증 억제, 뇌 기능 향상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새로운 마이오카인을 찾거나 마이오카인의 기능을 밝히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선 젊은 사람들과 나이 든 사람들 두 그룹으로 나눠 운동시킨 뒤 혈액 속 'CLCF1' 단백질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분석했다.

 CLCF1은 225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마이오카인 단백질이다.

 실험 결과 젊은 사람은 단 한 번의 운동만으로도 단백질이 뚜렷하게 증가하지만, 노년층은 12주 이상 꾸준히 운동해야만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CLCF1을 주사하자 근육 힘이 세지고 뼈의 밀도도 높아진 반면, CLCF1의 작용을 억제하자 운동을 해도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LCF1은 근육 안의 세포 에너지 공장이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향상하고, 뼈세포에서는 뼈를 녹이는 파골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반면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양용열 박사는 "나이가 들수록 근골격 노화가 일어나고, 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이유가 몸속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변화 때문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혀냈다"며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지난달 22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