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 "사업 확대로 '톱 40' 제약사 고객사로 확보할 것"

케빈 샤프 부사장, 바이오 USA서 간담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 글로벌 '톱 40' 제약사까지 고객 범주를 넓힐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18일(현지시간) 케빈 샤프 삼성바이오로직스 영업센터 세일즈앤드오퍼레이션담당 부사장은 미국 보스턴에서 개막한 바이오 전시회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행사장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구상을 전했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상위 20개 제약사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특히 단일항체(mAb) 치료제,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다양한 모달리티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을 확보했다고 샤프 부사장은 설명했다.

 ADC에 대해서는 "작년 대비 35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앞으로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중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및 ADC 역량을 토대로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접합체(AOC) 영역에서 핵심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최근 출시한 '삼성 오가오이드'를 통해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겠다고도 재차 언급했다.

 샤프 부사장은 최근 일본 도쿄에 영업 사무소를 마련한 데 대해서도 "글로벌 톱 40 제약사까지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한 교두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누적 수주액은 187억달러로, 창립 이래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CDO) 프로젝트가 각각 102개, 137개 시행됐다고 샤프 부사장은 덧붙였다.

 그러면서 "2032년까지 바이오캠퍼스 1, 2를 통틀어 총 132만4천리터(L) 생산 역량을 확보할 것"이라는 포부를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조울증 치료제 왜 안 들을까…뇌 속 별세포의 대사 차이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한진주 교수 연구팀이 조울증 치료제에 대한 반응 여부에 따른 뇌 속 '별세포'(astrocyte·성상세포)의 대사 차이를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조울증은 기분이 상승한 상태인 조증과 기분이 저조한 상태인 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정신장애다. 양극성 장애라고도 불린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2%가 앓고 있으며, 극단 선택의 위험성이 일반인보다 10∼30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치료제로 '리튬'이 쓰이는데, 환자마다 반응성이 크게 달라 치료에 한계가 있다. 한 교수 연구팀은 기존 신경세포 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에 주목했다. 환자의 세포에서 제작한 줄기세포를 별세포로 분화시킨 뒤 관찰한 결과, 리튬에 대한 반응 여부에 따라 세포의 에너지 대사 방식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리튬에 반응하는 환자의 별세포는 리튬 처리 시 지질 방울이 줄었지만, 무반응 환자에게서는 개선 효과가 없었다. 리튬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서는 별세포 안에 지질 방울이 과도하게 쌓이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떨어진 모습이 관찰됐다. 또 포도당 분해 과정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