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硏, 위장약에서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제시

레바미피드의 뇌 염증 완화·신경세포 보호 효과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건혁·임혜선 박사 연구팀이 위장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레바미피드'(Rebamipide)를 파킨슨병 등 뇌 질환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파킨슨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멸해 발생하는 난치성 뇌 질환이다.

 떨림, 경직, 걸음 이상 등 다양한 운동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

 파킨슨병 환자의 많은 수가 변비, 위무력증과 같은 위장관 이상 증상을 동반하며, 장과 뇌의 기능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에서 치료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전통 이론에 착안해 레바미피드가 가진 위장 보호 효능이 파킨슨병 모델에서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파킨슨병을 유도한 실험동물에 대한 연구 결과, 레바미피드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생존율을 약 2.1배, 도파민 분비량을 약 1.4배 증가시켰다.

 이와 함께 레바미피드가 'NLRP3'와 'NNEK7' 단백질 복합체 형성을 막는 역할을 해 뇌 염증 유발 물질의 발현이 3.7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로 NLRP3 유전자를 억제한 쥐는 레바미피드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이 염증 경로가 핵심 기전임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한의학 전통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신경과학 분야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융합연구 성과"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신경염증 저널'(Journal of Neuroinflammation) 지난달 17일 자에 실렸다.

레바미피드에 의한 파킨슨병 모델의 신경 보호 기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회장 "성분명 처방·한의사 엑스레이 허용시 총력 투쟁"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성분명 처방, 한의사 엑스레이(X-ray) 허용, 검체 검사제도 개편 등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김택우 의협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연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대회사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회장은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 분업의 원칙을 파기하는 것"이라며 "한의사에게 엑스레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면허 체계의 근본을 훼손하는 의료 악법이고, 검체 검사 보상체계 개편도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과도한 할인 관행을 개선하고자 검체 검사 보상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검체 검사 위탁 비중이 높은 동네의원들 입장에선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개편이라 개원가를 중심으로 특히 반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 세 가지 악법은 국회와 정부의 정책 폭주에서 나온 처참한 결과물"이라며 "국회와 정부가 의료계 대표자들의 외침을 외면한다면 14만 의사 회원의 울분을 모아 강력한 총력 투쟁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규탄한다",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