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32조9천억원…역대 최고

의약품 수출 28.2% 증가한 12조6천749억원…3년만에 무역흑자 전환
바이오의약품 생산 6조원 첫 돌파…26.4% 증가

 작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10년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의약품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28% 이상 급증하면서 무역수지가 3년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 의약품 생산 10년째 증가…무역수지 3년만에 흑자 전환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5년 16조9천696억원에서 2017년 20조3천580억원, 2021년 25조4천906억원, 2023년 30조6천396억원, 작년 32조8천629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의약품 생산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29%, 전체 제조업 분야 GDP 대비 4.8%를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5%로 같은 기간 GDP 성장률(5.5%)보다 높았다.

 국내 의약품 중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비율은 86.6%였으며 원료의약품은 13.4%였다.

 작년에는 원료의약품 성장세가 두드러져 전년 대비 16.8% 증가한 4조4천7억원을 기록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 비율은 85.1%였으며 일반의약품은 14.9%였다.

 일반의약품은 전년 대비 9.9% 증가한 4조2천357억원을 기록했다.

 의약품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셀트리온, 한미약품, 종근당 등 3곳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셀트리온은 전년 대비 62.5% 증가한 2조5천267억원을 기록해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이들 업체의 총 생산실적은 5조408억원으로 전년 대비 28.2% 증가하면서 전체 생산실적 대비 비율도 15.3%로 증가했다.

 생산실적에 수입실적을 더하고 수출실적을 제외한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는 31조6천965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작년 의약품 수출실적은 12조6천749억원으로 전년 대비 28.2%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020년 이후 최고 수준인 1조1천664억원을 기록하며 3년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수입실적의 경우 한국화이자제약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의 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117.2% 증가한 6천700억원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되찾았다.

 한국노바티스와 한국엠에스디가 뒤를 이었다.

 ◇ 바이오의약품 생산 6조원 첫 돌파…의약외품 시장은 축소

 작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26.4% 증가한 6조3천125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6조원대에 진입했다.

 식약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백신, 독소·항독소 등 모든 제제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인 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생산실적은 북미, 중남미, 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와 수출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42.7% 급증하며 전체 바이오의약품 중 58.1%를 차지했다.

 이어 백신(13.3%), 독소·항독소(10.7%), 혈장분획제제(8.7%), 혈액제제(7.9%), 세포치료제(1.3%) 순이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은 32억1천659만달러였으며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수출실적이 28억104만달러로 87.1%를 차지했다. 바이오의약품 무역수지는 9억1천692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최근 5년 새 가장 많았다.

 국가별 수출은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유럽시장 수출 허브 역할을 하는 헝가리가 436% 급증한 12억3천346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6억867만 달러), 튀르키예(4억3천206만달러), 브라질(1억4천404만달러) 순이었다.

 작년 의약외품 시장규모는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한 방역용품(마스크·외용소독제) 시장규모 감소로 1조7천544억원으로 전년(1조8천313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의약외품 수입실적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1억9천254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출실적은 23.6% 늘어난 8천206만달러를 나타냈다.

 의약외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적용이 의무화된 업종의 생산실적은 4천846억원으로 6.6%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박카스디액'과 '박카스에프액'이 전년에 이어 생산실적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3위 '까스활액', 4위 '영진구론산오리지날액', 5위 '메디안치석오리지널치약'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보건의료노조, 24일 총파업 철회…"공공의료 강화 등 노정 협력"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정부와의 실무 협의를 거쳐 24일로 예고했던 총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21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 17일부터 공공의료 강화, 의료인력 확충 등 보건의료 주요 현안에 대해 실무 협의를 진행했다. 노조는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임시대의원회의를 열어 논의한 끝에 산별 총파업을 철회하고, 사업장별 임금·단체협약 교섭 타결에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올해 임단협 타결에 실패한 전국 127개 의료기관에 대해 지난 8일 동시에 쟁의조정을 신청했으며, 사업장별 쟁의 행위 찬반투표에서 92.1%의 찬성률도 총파업을 가결한 바 있다. 복지부와 노조는 이번 실무 협의를 통해 '9·2 노정합의'가 새 정부의 정책방향과 부합된다는 점을 확인하며 직종별 인력기준 마련 및 제도화 등 미이행 과제의 이행을 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9·2 노정합의는 2021년 9월 정부와 보건의료노조가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보건의료인력 처우 개선 등에서 이룬 합의를 가리킨다. 보건의료노조는 이 합의가 윤석열 정부 시절 중단됐다며 이행체제 복원을 요구해왔다. 아울러 정부와 노조는 공공의료 강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세 부모 아기' 8명 건강히 성장중…희소유전질환 퇴치 청신호
중증 희소질환의 모계 유전을 차단하는 의학적 시술로 영국에서 아기 여러 명이 태어나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의학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을 통해 고됐다. NEJM는 최근 뉴캐슬대 등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 2편과 학술지 자체 사설 1편을 게재해 영국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증 시술'(MDT) 혹은 '미토콘드리아 치환술'(MRT)로 불리는 의학 시술로 남아 4명과 여아 4명이 출생한 사례를 보고했다. MDT는 미토콘드리아 변이에 따른 질환을 차단하기 위한 의학적 시술로, 체외수정(IVF)과 결합해서 시술된다.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핵 안이 아니라 그 바깥에 있는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다. 세포핵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에도 자체적 유전자가 있다. 다만 세포핵 유전자는 아이가 부모 양측으로부터 각각 절반씩 물려받는 것과 달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어머니로부터만 물려받는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세포의 에너지 활용에 문제가 생겨 어릴 때부터 뇌, 심장, 근육 등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심각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이런 질환에 시달리는 인구가 약 5천명에 1명 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