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형 간염 유병률 연평균 2.7% 감소…지역 격차는 여전"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 연구팀, 2005∼2022년 건보공단 빅데이터 분석

 국내 C형 간염 유병률이 최근 18년간 해마다 3%가량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 AI(인공지능) 학과 기모란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5∼2022년 전국 C형 간염 유병률 추이를 분석했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에 따른 간 질환으로, 감염자의 약 70∼80%에서 만성화하는 특징이 있다.

 분석 결과, 한국의 C형 간염 유병률은 2005년 인구 10만명당 151명에서 2022년 98명으로 연평균 2.7%씩 감소했다.

 특히 최근인 2018∼2022년에는 연평균 10.4%로 감소세가 더 가팔랐다.

 지역별 유병률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부산이 인구 10만명당 210명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남(131명), 전남(127명) 순이었다. 이들 세 지역은 연구 기간에 유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줄곧 높았다.

 17개 시도 중 충북(인구 10만명당 40명)의 유병률이 가장 낮았고, 그다음으로 강원(57명), 세종(58명) 순이었다.

 시군구별로 가장 많이 유병률이 하락한 곳은 충북 보은군으로, 2005년 인구 10만명당 361명에서 2022년 34명으로 연평균 23.7% 줄었다.

 반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연평균 3.0%씩(2005년 64명→2022년 87명) C형 간염 환자가 늘어난 경북 군위군이었다.

 신규 환자 기준 C형 간염 발생률은 2005년 인구 10만명당 78.3명에서 2022년 16.3명으로 대폭 줄었으나 사망률은 2005년 1.1%에서 2022년 1.6%로 올랐다.

 기모란 교수는 "한국의 C형 간염 유병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 지역별로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며 "C형 간염 퇴치 목표를 달성하려면 고위험 지역과 함께 최근 유병률이 오른 지역을 우선 집중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지역별 위험도에 따라 선별 검사와 치료 프로그램을 차별화하는 예방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고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C형 간염을 완치할 수 있는 최신 치료제인 항바이러스제(DAA)의 치료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BMC 퍼블릭 헬스'에 실렸다.

기모란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