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손상, 범죄·폭력행동 부위 있다"

美 연구팀 "뇌 '언시네이트 섬유' 부위 손상-범죄행동 연관성 발견"

 뇌에서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감정 조절과 판단 등에 관여하는 특정 부위가 손상될 경우 범죄적 또는 폭력적 행동을 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아이제이아 클레테닉 교수가 이끄는 콜로라도대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등 공동 연구팀은 30일 국제학술지 분자 정신의학(Molecular Psychiatry)에서 뇌 손상 및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환자의 뇌를 비교, 특정 부위 손상과 범죄 행동 간 연관성을 발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언시네이트 섬유는 보상 기반 의사 결정에 관련된 뇌 영역과 감정을 처리하는 영역을 연결하며, 연결이 오른쪽에서 손상되면 충동 조절, 결과 예측, 공감 능력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콜로라도대 의대 크리스토퍼 필리 교수는 "언시네이트 섬유 부위는 감정과 의사결정 담당 영역들을 연결하는 케이블 역할을 하는 백질(white matter) 경로"라며 "연결이 끊기면 감정을 조절하고 도덕적 선택을 내리는 능력이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손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뇌 영역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돼 있는지를 상세히 나타내는 전체 커넥톰(Connectome)을 분석, 오른쪽 언시네이트 섬유가 범죄 행동과 가장 일관되게 연결된 신경 경로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모든 사람이 이 유형의 뇌 손상 후 폭력적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연구 결과는 감정과 의사결정 담당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범죄 행동이 시작되는 데 중 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필리 교수는 "이 연구는 의학과 법률 모두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의사들은 범죄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식별해 조기에 개입할 수도 있고, 법원은 형사 책임을 평가할 때 뇌 손상을 고려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논문 제1 저자 겸 교신저자인 클레테닉 교수는 "이 연구가 형사 책임과 자유 의지에 관한 복잡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면서도 "이 발견이 논의를 풍부하게 해줄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뇌에 의한 사회적 행동 매개에 관한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Molecular Psychiatry, Isaiah Kletenik et al., 'White matter disconnection in acquired criminality', https://www.nature.com/articles/s41380-025-03076-z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젊은 암 늘자 '가임력 보존' 관심…"출산 계획 환자부터 지원"
젊은 암 환자가 많아지면서 '가임력 보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환자와 의사 대부분이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계획이 있는 암 치료 대상자부터 지원해야 한다는 데에도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이견이 없었다.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가임력 보존 및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가임기 여성 환자와 이들을 진료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러한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암 발병 연령이 낮아진 데 따라 젊은 암 환자의 완치 이후의 삶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 암을 새롭게 진단받은 20∼39세 환자는 1만9천575명에 달한다. 특히 가임력 보존은 저출생 시대 젊은 유방암 환자 등이 증가한 데 따라 관심이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학회는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병원 7곳에서 외래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유방암 등을 진단받고 가임력 보존 시술을 받은 환자는 53명이었다. 우선 응답자의 83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