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626/art_17511457325817_3b0411.jpg)
작년 건강보험 재정에서 급여 의약품비로 27조원에 달하는 약값이 지출됐다.
고령화 속에 급여 의약품 청구액 증가 추세도 이어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4년 건강보험 급여 의약품 청구금액은 26조9천897억원으로, 전년(25조8천204억원) 대비 4.5% 증가했다.
급여 의약품 지출 규모는 2020년 약 20조원에서 매년 늘어 최근 5년간 연평균 7.8% 증가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약국'에서 청구한 급여 의약품비가 18조4천938억원(68.5%)으로 가장 많았고, 상급종합병원 3조9천550억원(14.7%), 종합병원 2조3천33억원(8.5%), 의원 1조2천6억원(4.4%), 병원 1조137억원(3.8%) 순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http://img3.yna.co.kr/etc/inner/KR/2025/06/27/AKR20250627164200530_01_i_P4.jpg)
연령별로는 70세 이상 고령 환자의 청구금액이 9조417억원(33.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60대는 8천82억원(25.2%), 50대 4조5천194억원(16.7%) 등이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급여 의약품 청구금액은 전체의 46.6%인 12조5천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6.7%(11조7천888억원) 증가했다.
고령화로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비율이 늘어나면서, 고령자의 약품 청구금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4.3%, 2021년 45.5%, 2022년 45.6%, 2023년 45.7%, 2024년 46.6%로 계속 커지고 있다.
치료제군별 청구금액은 심혈관계(5조1천400억원), 항악성종양제 및 면역조절제 (4조1천500억원), 소화기관 및 대사(3조9천억원), 신경계(2조6천300억원) 등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