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양자 보안기술 선제 도입해 정보보호 강화해야"

한국 딜로이트 그룹 "수명 긴 의료기기·환자 정보 네트워크에 적용 필요"

 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보 보호를 위해 양자 보안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 6대 테크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양자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암호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양자 컴퓨터는 일반 컴퓨터로는 불가능한 막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암호 해독이 가능한 '암호 관련 양자 컴퓨터'(CRQC)는 기업 기밀 정보를 해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문가 측은 CRQC가 10년 안에 현실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신약 관련 첨단 기술이나 의료 데이터가 사업 영위의 핵심인 제약·바이오 기업은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크다.

 보고서는 양자 내성 암호로의 전환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양자 내성 암호는 소인수분해, 이산대수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공개키 기반 암호보다 더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기반으로 해 양자 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렵다.

 심박조율기 등 제품 수명이 긴 의료기기나 환자의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네트워크 및 서비스에는 이 같은 보안 체계를 빠르게 도입할수록 유리하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실제 한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사는 수명이 길며 침습적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를 대상으로 한 양자 보안 체계를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업은 향후 다른 제품군에도 양자 보안이 적용될 수 있게 준비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제품을 설계할 때 양자 내성 보안을 적용하면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소비자 신뢰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제약·바이오 기업이 양자 보안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동반돼야 한다.

 미국 상무부 소속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경우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양자 내성 보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애플, 구글, IBM 등 기업은 이미 양자 보안에 투자하고 있다.

 애플의 경우 양자 보안 암호화로 아이메시지 애플리케이션(앱)을 강화했고 구글과 IBM도 제품 전반에 새로운 암호화 표준을 도입하고 있다.

 보고서는 "CRQC는 초기 진입장벽이 높은 기술이지만 제약·바이오 업계는 이로 인한 위험을 조기에 인식하고 대비해야 한다"며 "양자 보안 체계를 선제적으로 도입하면 차별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 가속…이르면 27학번부터 정원내 특별전형
지역의 의료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의대 신입생 중 일정 비율을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뽑아 졸업 후 일정 기간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게 하는 것으로, 입법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이르면 2027학번부터 해당 전형 신입생 선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 의대 졸업 후 지역서 10년간 의무복무…4개 법안 논의 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7일 입법 공청회를 열고 현재 발의된 지역의사 양성 관련 법률안 4개에 대한 의료계, 법조계, 환자단체 관계자 등의 의견을 청취한다. 지역의사제 도입은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등과 더불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지난 9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지역의사제 도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발의된 법안은 민주당 이수진·김원이·강선우 의원,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것으로,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들어온 의대 신입생들에게 학비 등을 지원한 후 의무복무하게 한다는 골격은 비슷하다. 이들 법안을 바탕으로 지난 9월 정부가 국회가 제출한 수정 대안은 의대 정원 내에서 일정 비율로 선발해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학비 등을 지원하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