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727/art_17515378824006_b3930f.jpg?iqs=0.5723339977315007)
올여름 온열질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 체계에 따르면 올해 5월 15일∼7월 1일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524명(사망 3명 포함)이었다.
올해 온열질환자는 작년 같은 기간(사망 2명 포함 390명)의 1.34배였다.
올해 온열질환 10건 중 8건가량이 실외(84.9%)에서 발생했다. 실외 중에서는 작업장(26.0%), 길가(17.2%), 논밭(17.0%)에서 주로 환자가 나왔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30.5%를 차지했다.
온열질환은 열 때문에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이다.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발생하고, 두통이나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인다.
온열질환자를 따로 처치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질병청은 당분간 무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주의를 당부했다.
열대야는 온열질환뿐만 아니라 피로감, 집중력 저하, 두통, 식욕 부진, 불면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막을 건강 수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열대야에 대비하려면 취침 전에는 과식이나 알코올·카페인 섭취를 삼가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수면 1∼2시간 전에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해 체온을 낮추는 것도 방법이다.
또 강도 높은 운동은 심부 체온을 상승시켜 수면을 방해하므로 운동량을 조절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낮잠은 짧게 자고, 규칙적인 수면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고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무리한 야외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열대야는 단순히 잠을 설치는 불편함을 넘어서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건강 수칙을 실천해야 한다"며 "열대야뿐만 아니라 낮 동안의 폭염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하고, 무더운 날씨에는 시원한 환경에서 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제공]](http://img7.yna.co.kr/etc/inner/KR/2025/07/03/AKR20250703109500530_01_i_P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