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미 의약품 수출비중 18.8%…미 관세 대비 지원 필요"

산업연구원 보고서…통관세·물류비 지원 등 방안 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의약품에도 별도의 품목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한국 의약품의 대미 수출 비중이 약 20%에 달하는 만큼 관세 부과 시 업계가 받을 충격을 완화할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국책 연구기관이 제언했다.

 산업연구원은 16일 펴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건 정책 변화와 한국 제약 바이오산업의 대응 방향' 보고서에서 "미국이 의약품 수입 관세를 부과하면 국내 바이오의약품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라며 "수출 기업의 통관세 보조 또는 현지 시장에 진출한 국내 제약사의 물류비용 지원 등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미국의 의약품 수입 중 한국 비중은 2%에 그쳤다.

 하지만 반대로 한국의 의약품 수출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8.8%에 달했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당시 국내 위탁생산(CMO) 산업이 세계 백신 제조에 기여한 사례를 들어 미국 행정부에 우리 역할을 강조하고 우방국 간 강한 연대와 전략적 협력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 역시 차세대 주력 산업인 바이오제약 산업 육성을 위해 대승적인 차원의 전략 강구해야 한다면서 의약품 심사 역량 강화를 통한 인허가 기간 단축, 바이오 특화 펀드 확대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후기 임상시험을 지원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현재 진행 중인 한미 관세 협상에서 미국 측이 한국 정부의 엄격한 신약 보험 심사 기준 문제를 제기한 것과 관련해 "국내 규제 당국은 심사 기준의 과학적 근거 강화 및 선정 기준의 구체화 등 규제 관리의 선진화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복귀 요구안 논의…"중증·핵심의료 재건 위한 목소리"
의정 갈등 속에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수련 재개를 위한 구체적인 요구안 논의에 나섰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1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 요구안과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 자리에서 각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들은 하반기 병원에 복귀해 수련을 재개하기 위해 정부나 정치권, 수련병원 등에 요구할 내용들을 확정해 의결하게 된다.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정부와 의료계, 정치권 등의 논의가 최근 연이어 물꼬를 튼 만큼 이날 의결 내용이 향후 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금일 의결되는 요구안은 공식 대화 테이블에 올릴 의제들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해당 의제들은 무너진 중증·핵심의료를 재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한 비대위원장은 이어 "상처 입은 젊은 의사들이 다시 중증·핵심의료를 이어 나갈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신뢰를 회복하고 양질의 수련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총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