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속 혈류 조절 열쇠' 억제성 신경세포에서 찾았다

기초과학연, 뇌 영상 기술 해석 새 가능성 제시

  우리가 무언가를 생각하거나 몸을 움직일 때 뇌 속 혈류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기존에는 흥분성 신경세포가 혈류를 조절한다고 알려졌지만, 뇌 전체 신경세포의 약 15%를 차지하는 억제성 신경세포 역할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중에도 약 30%를 구성하는 뇌와 몸속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소마토스타틴(SST) 신경세포의 기능은 더욱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연구팀은 SST 신경세포가 두 단계의 혈관 확장 메커니즘을 통해 뇌 혈류를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산화질소 분비를 통해 혈관을 빠르게 확장하고, 이어 뇌 환경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성상세포(astrocyte)가 작동하면서 더 느리지만 지속적인 혈관 확장을 유도하는 구조다.

 연구팀은 마우스(쥐) 모델을 활용해 SST 신경세포를 광자극 및 감각 자극했을 때 나타나는 신경·혈류·성상세포의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SST 신경세포를 자극하면 산화질소가 빠르게 분비, 혈관 확장이 유도되고 이후 성상세포가 활성화돼 느리지만 지속적인 혈관 확장을 촉진하는 '신경-교세포-혈관 연계 경로'가 작동하는 것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SST 신경세포가 뇌 혈류 조절에 직접 관여하고, 성상세포를 매개로 한 지연성 혈관 확장이 최근 뇌 영상 분야에서 대뇌 피질의 깊이별 기능 차이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레이어 fMRI(layer functional MRI) 기술 신호 특이성을 형성하는 주요 세포 기전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레이어 fMRI 신호의 생리학적 기반을 제공, 고해상도 뇌 영상 기술 해석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뇌 질환 영상 분석과 조기 진단 정밀도를 높이는 새 가능성도 연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성기 단장은 "억제성 신경세포와 성상세포 간 정교한 상호작용이 뇌 혈류 조절의 핵심 기전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며 "치매, 우울증 등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서 SST 신경세포의 기능 이상이 혈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일 뿐만 아니라, 고정밀 뇌 영상 기술 개발에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8일 온라인 게재됐다.

IBS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알아두면 좋은 술의 상식
지난 칼럼에서 필자는 중국술에 대해 알아봤다. 바다 건너 일본술도 한번 살펴볼까 한다. 흔히 '니혼슈'(日本酒), 혹은 사케라고 하는 일본의 전통술은 종류가 약 1만2천여 가지나 된다. 사케는 일본의 대표적인 술로, 쌀을 발효해서 만든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산지 역시 물이 좋은 곳, 쌀이 좋은 곳이다. 술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요소는 물이다. 물이 좋으면 쌀이 좋고, 좋은 쌀로 만든 술이 맛있는 법이다. 일본의 유명한 사케 명주는 대개 물이 좋은 곳에서 나오고, 술을 담그는 데 사용한 쌀 품종까지 밝힌다. 그런 일본 명주는 주로 니가타현에서 많이 나온다. 니가타현 하면 쌀이 좋기로 유명한데, 태평양 쪽에 있는 일본의 높은 산 위에 내린 눈이 녹아 흐른 물로 농사를 짓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물 좋고 쌀 좋은 데를 꼽아보자면 경기도 이천이 있다. 그래서 국내산 맥주는 대부분 이천의 물로 만들었고, 지금도 맥주 공장이 있다. 일본 소주도 아주 유명하다. 원래 일본에는 소주가 없었는데, 우리나라 진로 소주가 일본에서 인기를 끌다 보니 소주를 주조하게 됐다. 쌀로 만든 소주, 보리로 만든 소주, 고구마로 만든 소주 등 종류는 다양하다. 일본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