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포항공대, 협착 뇌혈관 생체 모델 개발 성공

 부산대학교는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병수 교수 연구팀이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좁아진 뇌혈관의 실제 구조와 내부 흐름을 그대로 재현한 인공 뇌혈관 모델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뇌혈관 협착'은 신경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협착 부위의 비정상적 혈류가 내피세포를 자극해 염증과 병변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뇌혈관 협착 부위를 모사해 정밀하게 프린팅하고 그 내부에 내피세포를 배양해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형성했다.

 연구팀은 돼지 대동맥 조직 생체재료에 콜라겐 등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바이오잉크를 개발해 실제 동맥경화 등의 염증 반응과 유사한 인공 뇌혈관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김병수 부산대 교수는 "향후 혈관 질환의 기전 연구와 약물 반응 평가,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생체재료 및 조직공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애플워치 혈중산소 측정 기능 재도입…특허 패소 22개월만
애플은 애플워치 이용자를 위해 재설계된 혈중 산소 측정 기능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애플은 재설계된 이 기능이 지난 14일(현지시간)부터 일부 애플워치9과 10, 애플워치 울트라2 이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2023년 10월 의료기술 업체 마시모와 이 기술의 특허를 둘러싼 소송에서 패한 지 1년 10개월 만이다. 당시 미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애플이 마시모의 혈중 산소 측정 기술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해 해당 기술이 들어간 애플워치의 미국 수입 금지를 결정했다. 애플은 2020년 이 기술을 처음 애플워치에 도입했지만, ITC 결정으로 애플워치를 미국에 들여오기 위해서는 이 기능을 제거해야 했다. 애플 측은 최근 재설계된 기능과 관련한 미 관세청의 결정으로 이번 업데이트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전 기능은 애플워치 자체에서 혈중 산소 수치를 계산해 표시하는 반면, 재설계된 기능은 애플워치에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해 페어링 된 아이폰으로 전송하고 아이폰에서 수치를 계산해 '건강' 앱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미 관세청은 재설계된 기능이 이전 기능과 달리 마시모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애플은 "우리 팀들은 과학에 기반하고 개인정보 보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