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서 임상의사 두 번째로 적은데…국민 1인 외래진료는 최다

의학계열 졸업자는 세 번째로 적어…병원 병상 수는 최다

  우리나라의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의학 계열 졸업자는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적었다.

 다만, 높은 의료 접근성 덕분에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 한국 임상 의사 수 '밑에서 두 번째'…의대 졸업생은 세 번째로 적어

  보건복지부가 최근 공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현재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66명으로, 일본(2022년 기준 2.65명)에 이어 OECD 국가(평균 3.86명) 중 두 번째로 적었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임상 의사 수 '꼴찌'에 머무르다 한 단계 올라섰다.

 임상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오스트리아는 5.51명이었다.

 '미래 의사'인 우리나라의 의학 계열 졸업자(한의학 포함·치의학 제외)는 2023년 인구 10만명당 7.4명이었다.

 이는 OECD 국가(평균 14.3명) 가운데 이스라엘(7.2명), 캐나다(7.3명)에 이어 세 번째로 적은 수치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간호인력은 인구 1천명당 9.5명으로, OECD 평균(9.7명)보다 0.2명 적었다.

 전체 간호인력 중 간호사는 OECD 평균(8.4명)보다 적은 5.2명이었다.

 다만 2023년 국내 간호대학 졸업자는 인구 10만 명당 46.0명으로, OECD 평균(35.0명)을 웃돌았다.

2023년 OECD 국가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

 ◇ 의사는 적지만…병상 수·외래 진료 횟수는 '최고'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병원의 병상수는 인구 1천명당 12.6개였다. OECD 평균(4.2개)의 3배에 달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병상 가운데 생명이나 정상적 기능을 위협하는 질병을 다루기 위한 급성기 치료 병상은 인구 1천명당 7.4개로, OECD 평균(3.4개)의 2.2배 수준이었다.

 우리나라는 의료 장비도 잘 갖춘 편이다.

 2023년 우리나라의 자기공명영상(MRI) 장비는 인구 100만명당 38.7대,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는 인구 100만명당 45.3대였다.

 각각 OECD 평균(MRI 21.2대·CT 31.1대)보다 많았다.

 우리나라의 MRI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90.3건으로 OECD 평균보다 적었으나 CT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333.5건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CT 이용량은 연평균 8.3%, MRI 이용량은 연평균 13.2%로 지속해서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국민 1인이 의사로부터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2023년 기준 18.0회로 OECD 평균치(6.5회)의 2.8배에 달해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일본(2022년 기준 12.1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외래 진료 횟수가 많았던 반면, 멕시코(1.8회), 코스타리카(2.2회), 스웨덴(2.4회), 그리스(2.7회)에서는 3회가 채 되지 않았다. 

 2023년 우리나라 입원환자의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17.5일로, OECD 국가(평균 8.1일) 중에서 일본(26.3일) 다음으로 길었다.

급성기 치료를 위한 입원환자의 경우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OECD 평균(6.5일)보다 하루 가까이 긴 7.2일이었다.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연평균 0.6% 증가한 반면, 급성기 치료는 연평균 2.1% 줄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1천명당 610.6건으로, 회원국 평균(292.5건)의 약 2.1배이자 전체 1위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지리적 여건, 건강보험 체계 등의 영향으로 의료 접근성이 다른 나라보다 높아 진료 횟수 등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