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서 임상의사 두 번째로 적은데…국민 1인 외래진료는 최다

의학계열 졸업자는 세 번째로 적어…병원 병상 수는 최다

  우리나라의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의학 계열 졸업자는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적었다.

 다만, 높은 의료 접근성 덕분에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 한국 임상 의사 수 '밑에서 두 번째'…의대 졸업생은 세 번째로 적어

  보건복지부가 최근 공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현재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66명으로, 일본(2022년 기준 2.65명)에 이어 OECD 국가(평균 3.86명) 중 두 번째로 적었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임상 의사 수 '꼴찌'에 머무르다 한 단계 올라섰다.

 임상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오스트리아는 5.51명이었다.

 '미래 의사'인 우리나라의 의학 계열 졸업자(한의학 포함·치의학 제외)는 2023년 인구 10만명당 7.4명이었다.

 이는 OECD 국가(평균 14.3명) 가운데 이스라엘(7.2명), 캐나다(7.3명)에 이어 세 번째로 적은 수치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간호인력은 인구 1천명당 9.5명으로, OECD 평균(9.7명)보다 0.2명 적었다.

 전체 간호인력 중 간호사는 OECD 평균(8.4명)보다 적은 5.2명이었다.

 다만 2023년 국내 간호대학 졸업자는 인구 10만 명당 46.0명으로, OECD 평균(35.0명)을 웃돌았다.

2023년 OECD 국가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

 ◇ 의사는 적지만…병상 수·외래 진료 횟수는 '최고'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병원의 병상수는 인구 1천명당 12.6개였다. OECD 평균(4.2개)의 3배에 달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병상 가운데 생명이나 정상적 기능을 위협하는 질병을 다루기 위한 급성기 치료 병상은 인구 1천명당 7.4개로, OECD 평균(3.4개)의 2.2배 수준이었다.

 우리나라는 의료 장비도 잘 갖춘 편이다.

 2023년 우리나라의 자기공명영상(MRI) 장비는 인구 100만명당 38.7대,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는 인구 100만명당 45.3대였다.

 각각 OECD 평균(MRI 21.2대·CT 31.1대)보다 많았다.

 우리나라의 MRI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90.3건으로 OECD 평균보다 적었으나 CT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333.5건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CT 이용량은 연평균 8.3%, MRI 이용량은 연평균 13.2%로 지속해서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국민 1인이 의사로부터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2023년 기준 18.0회로 OECD 평균치(6.5회)의 2.8배에 달해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다.

 일본(2022년 기준 12.1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외래 진료 횟수가 많았던 반면, 멕시코(1.8회), 코스타리카(2.2회), 스웨덴(2.4회), 그리스(2.7회)에서는 3회가 채 되지 않았다. 

 2023년 우리나라 입원환자의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17.5일로, OECD 국가(평균 8.1일) 중에서 일본(26.3일) 다음으로 길었다.

급성기 치료를 위한 입원환자의 경우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OECD 평균(6.5일)보다 하루 가까이 긴 7.2일이었다.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연평균 0.6% 증가한 반면, 급성기 치료는 연평균 2.1% 줄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1천명당 610.6건으로, 회원국 평균(292.5건)의 약 2.1배이자 전체 1위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지리적 여건, 건강보험 체계 등의 영향으로 의료 접근성이 다른 나라보다 높아 진료 횟수 등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3분 만에 질병 현장 진단…효소 모방 촉매 반응 38배 향상
국내 연구진이 기존 효소 모방 촉매보다 수십배 이상 향상된 선택도와 단 3분 만에 육안으로 현장 진단(POCT)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팀이 서울대 한정우·가천대 김문일 교수 연구팀과 과산화효소 반응만을 선택적으로 하면서도 높은 반응 효율을 보이는 새로운 단일원자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급성 질병 조기 진단과 만성 질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환자 가까이서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POCT 기술 핵심은 특정 물질을 정확히 인식하고 반응하는 '효소'에 있다. 효소를 이용하면, 질병 진단 물질인 바이오마커 색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기존 자연 효소는 고비용과 불안정성이라는 한계가 있고, 이를 대체하는 효소 모방 촉매는 낮은 반응 선택도가 문제다. 연구팀은 촉매의 반응 선택성을 원자 수준에서 제어하기 위해 루테늄(Ru)에 금속과 결합해 화학적 성질을 조절하는 '염소(Cl) 리간드'를 3차원 방향으로 결합하는 '독창적 구조 설계 전략'을 활용, 정확한 진단 신호만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실험 결과, 기존 효소 모방 촉매보다 38배 이상 선택도가 향상됐고, 과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