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육아 연구자에 '브릿지펀드'로 경력 지원

WISET, 연장·복직 트랙 도입…과제별 최대 6천만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은 '2025년 육아기 연구자 과제지원'(브릿지펀드) 사업 참여자를 내달 3일까지 모집한다.

 브릿지펀드는 육아기 과학기술인 연구를 중단하지 않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연구비를 지 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9개 내외 과제를 지원한다.

 올해는 연장과제 지원에 더불어 휴직 후 복직한 연구자들 대상 복직과제 지원 트랙을 신설했다.

 복직과제 지원은 출산이나 육아휴직 후 복직한 지 1년 이내로 연구책임자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연구자가 대상이며 마중물 과제 형식으로 과제당 최대 3천만원을 제공한다.

 두 트랙 모두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문애리 WISET 이사장은 "연구에 전념해야 할 시기와 출산·육아의 시기가 겹치면서 많은 연구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브릿지펀드 사업을 통해 경력 단절을 예방하고, 출산과 육아 이후에도 연구 현장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지속해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연 1회' 건강보험 적용 스케일링 "연말까지 꼭 받으세요"
올해 치석 제거 시술인 '스케일링'을 한 번도 받지 않은 만 19세 이상 성인은 12월 31일까지 치과를 방문하는 게 좋겠다. 스케일링 시술은 연 1회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고, 연간 단위이므로 올해를 넘기면 소멸된다. 올해 스케일링을 받지 않았다고 해서 내년에 건보가 2회 적용되는 건 아니다.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석 제거가 중요하다며, 올해 들어 스케일링을 받지 않았다면 연말까지 치과를 방문해 시술받으라고 31일 밝혔다. 스케일링은 칫솔이나 치실만으로 제거되지 않은 치석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시술이다. 치석은 잇몸의 염증을 유발해 흔히 '잇몸병'이라고 불리는 치은염과 치주질환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충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은염은 잇몸을 지칭하는 치은에 생기는 염증이고, 치은염을 방치하면 염증이 잇몸뼈인 치조골 주위까지 진행된 치주염으로 악화한다. 잇몸뼈까지 염증이 번지면 치아를 아예 잃을 위험이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정기적인 스케일링 등으로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성인 10명 중 7명은 건보가 적용되는 스케일링을 받지 않고 있다고 치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