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의료관광 이유 1순위는 '우수한 기술과 효과'…가격은 4순위

방한 외국인 59.8% "의료관광 목적으로 한국 재방문 의향 있다"
보건산업진흥원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 공개

 의료서비스 이용이나 의료관광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값싼 가격이 아니라 우수한 실력 때문에 우리나라를 선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외국인 10명 중 6명은 향후 의료서비스 이용이나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재방문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5개 국가, 22개 도시에 거주하는 성인 6천8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온라인으로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를 벌여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전체의 18.2%(1천239명)가 의료서비스 이용이나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에 방문한 경험이 있었다.

 이들 중 대부분인 86.2%는 2022년 이후 방문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28.3%), 인도네시아(26.3%), 중국(25.8%) 등 아시아 국가에서 방문한 비율이 높았다.

 이들이 한국을 선택한 이유 1순위는 '우수한 의료기술과 치료 효과'(54.9%) 때문이었다. 이어 '최첨단 의료 장비와 시설'(49.2%), '병원의 지명도'(37.9%), '적절한 가격 수준'(35.7%) 순이었다.

 이미 방문한 적이 있더라도 향후 의료서비스 이용과 의료관광을 위해 한국을 다시 찾을지를 묻자 59.8%(4천64명)가 재방문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방문 의향이 있는 응답자들은 '우수한 의료기술과 치료효과'(60.1%), '최첨단 의료장비와 시설'(51.1%)을 주요 의사 결정 요인으로 택했다.

 반면 방문 의향이 없는 응답자 2천736명은 '해외에서의 치료에 관심이 없어서'(64.0%), '한국까지의 거리가 멀어서'(62.5%)라고 밝혔다.

 한국의 바이오헬스 산업 중에서는 화장품 분야의 인지도가 높았다.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 19개국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화장품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의료서비스는 5위, 의료기기·의약품은 각 6위였다.

 바이오헬스 산업 선도국가 중 한국에 대한 전반적 호감도는 61.8점으로 19개국 중 10위였다. 1위는 호감도 69.6점을 받은 일본이었다.

 한국에 대한 전반적 호감도가 높은 응답자 중에서는 '기술 강국으로 인식되기 때문(33.0%)'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호감도가 낮은 경우에는 '국가에 대한 신뢰감 부족(53.2%)'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