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조희대 사법부, 사법 불신 맹성하고 사법개혁 논의 임해야

'강제노동' 뺀 일본의 사도광산 추도식, 강력한 유감 표한다

농민과 소비자 울리는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 시급하다

▲ 동아일보 = "내란공범" "자업자득"… 與 사법부 압박 지나치다

"구인할 테면 하라"… 한동훈이 그래선 안 된다

대만, 22년 만에 韓 1인당 GDP 추월 전망… 혁신이 갈랐다

▲ 서울신문 = 보유 외화 84% 투자하라는 美… 국익 지킬 타협안 관철을

사법개혁 정당성 위해 '충분한 공론화' 전제돼야

국가신용등급 역대급 추락 佛… 남의 일 아닐 수도

▲ 세계일보 = 강성 지지층 포로 된 여야, 협치로 국민 안심시켜라

투자 수익 90% 요구하는 美… 국익 지킬 해법 찾아야

안보 위기 속 軍 잇단 사고, 국방부 특단 대책 내놓길

▲ 아시아투데이 = 사법 개혁, 충분한 법원 의견 수렴이 필수다

北, 중·러에 '통일포기' 지지요청…자력안보 강화를

▲ 조선일보 = 모든 국가 정책을 1~2년만 보고 할 건가

계엄 피해자 한동훈 법정 세운다는 건 정치 보복

74%가 연체, 경기도 '금융 복지'의 결과

▲ 중앙일보 = 여야 지도부 눈엔 강성 지지층만 보이나

과도한 미국의 투자 압박…상황 급하지만 신중 기해야

▲ 한겨레 = 미국의 과도한 관세협상 요구, 수용하기 힘들다

국민의힘 극우 연대 기웃, 보수의 미래가 안 보인다

전공의노조 출범, 의료개혁 사회적 책무도 다하길

▲ 한국일보 = 법원 배제한 사법개혁, 어떻게 '재판 독립' 가능하겠나

대만에 추월 1인당 GDP, 구조개혁으로 성장 살려야

장외투쟁 능사 아냐… 국민의힘 국회서 역할 다하라

▲ 글로벌이코노믹 = 타산지석 삼을 일본의 대미 투자협정

임금체불·산재 주범은 불법 재하도급

▲ 대한경제 = '추석 민생안정 대책', 확실한 이행·점검으로 실효성 높여야

서울시 주택공급, '9·7 대책' 보완하되 투기 차단책도 병행하라

▲ 디지털타임스 = 정청래 "사법개혁, 사법부 자업자득"… 위험천만한 독재 사고다

美 '투자 백지수표' 압박, 협상 난항… 국익 해치는 졸속합의 안돼

▲ 매일경제 = 코스피 사흘연속 사상 최고…사상누각되지 않으려면

배추·무 값 70%가 유통비, 배보다 배꼽이 큰 구조 수술해야

1인당 GDP 대만에 밀릴판, 국민 부자 만들 진짜 개혁 절실

▲ 브릿지경제 = K-AI 강국이 바꿀 미래, 우리가 함께한다

▲ 서울경제 = 강성 팬덤에 포획된 與, 더 멀어진 '경제 살리기' 협치

韓경제 22년만에 대만에 재역전… '기업 주도 성장'이 정답

'옥상옥 관치' 노출된 은행·증권사로 '금융 강국' 가능한가

▲ 이데일리 = 난기류 빠진 한미 관세협상, 국익 지키기 최선 다해야

재정중독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수모, 남의 일 아니다

▲ 이투데이 = 한류열풍 탄 외국인 관광객 주목을

▲ 전자신문 = AI창작물 권리 정립, 한발 앞서가자

▲ 파이낸셜뉴스 = 정부 적극 나서야 석화 구조조정 골든타임 지킨다

美 구금자 반인권 철저히 따지고 협상은 의연하게

▲ 한국경제 = '사법부 통제' 의구심 불식하려면 판사들 우려에 답해야

프랑스도 못 피한 신용등급 강등 … 재정중독 이렇게 무섭다

꽉 막힌 관세 협상, 감정적 대응보다 국익 지킬 대안 집중할 때

▲ 경북신문 = 푸틴, APEC 참석할까… 아직 불투명

▲ 경북일보 = 美 조지아 사태, 투자 협력 강화 계기로 삼아야

원전 산업화 경북, 탈원전 유턴 우려 크다

▲ 대경일보 = 테러,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한다

전기부족 심각한데 탈원전 회귀 우려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