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조희대 사법부, 사법 불신 맹성하고 사법개혁 논의 임해야

'강제노동' 뺀 일본의 사도광산 추도식, 강력한 유감 표한다

농민과 소비자 울리는 농산물 유통구조, 개혁 시급하다

▲ 동아일보 = "내란공범" "자업자득"… 與 사법부 압박 지나치다

"구인할 테면 하라"… 한동훈이 그래선 안 된다

대만, 22년 만에 韓 1인당 GDP 추월 전망… 혁신이 갈랐다

▲ 서울신문 = 보유 외화 84% 투자하라는 美… 국익 지킬 타협안 관철을

사법개혁 정당성 위해 '충분한 공론화' 전제돼야

국가신용등급 역대급 추락 佛… 남의 일 아닐 수도

▲ 세계일보 = 강성 지지층 포로 된 여야, 협치로 국민 안심시켜라

투자 수익 90% 요구하는 美… 국익 지킬 해법 찾아야

안보 위기 속 軍 잇단 사고, 국방부 특단 대책 내놓길

▲ 아시아투데이 = 사법 개혁, 충분한 법원 의견 수렴이 필수다

北, 중·러에 '통일포기' 지지요청…자력안보 강화를

▲ 조선일보 = 모든 국가 정책을 1~2년만 보고 할 건가

계엄 피해자 한동훈 법정 세운다는 건 정치 보복

74%가 연체, 경기도 '금융 복지'의 결과

▲ 중앙일보 = 여야 지도부 눈엔 강성 지지층만 보이나

과도한 미국의 투자 압박…상황 급하지만 신중 기해야

▲ 한겨레 = 미국의 과도한 관세협상 요구, 수용하기 힘들다

국민의힘 극우 연대 기웃, 보수의 미래가 안 보인다

전공의노조 출범, 의료개혁 사회적 책무도 다하길

▲ 한국일보 = 법원 배제한 사법개혁, 어떻게 '재판 독립' 가능하겠나

대만에 추월 1인당 GDP, 구조개혁으로 성장 살려야

장외투쟁 능사 아냐… 국민의힘 국회서 역할 다하라

▲ 글로벌이코노믹 = 타산지석 삼을 일본의 대미 투자협정

임금체불·산재 주범은 불법 재하도급

▲ 대한경제 = '추석 민생안정 대책', 확실한 이행·점검으로 실효성 높여야

서울시 주택공급, '9·7 대책' 보완하되 투기 차단책도 병행하라

▲ 디지털타임스 = 정청래 "사법개혁, 사법부 자업자득"… 위험천만한 독재 사고다

美 '투자 백지수표' 압박, 협상 난항… 국익 해치는 졸속합의 안돼

▲ 매일경제 = 코스피 사흘연속 사상 최고…사상누각되지 않으려면

배추·무 값 70%가 유통비, 배보다 배꼽이 큰 구조 수술해야

1인당 GDP 대만에 밀릴판, 국민 부자 만들 진짜 개혁 절실

▲ 브릿지경제 = K-AI 강국이 바꿀 미래, 우리가 함께한다

▲ 서울경제 = 강성 팬덤에 포획된 與, 더 멀어진 '경제 살리기' 협치

韓경제 22년만에 대만에 재역전… '기업 주도 성장'이 정답

'옥상옥 관치' 노출된 은행·증권사로 '금융 강국' 가능한가

▲ 이데일리 = 난기류 빠진 한미 관세협상, 국익 지키기 최선 다해야

재정중독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수모, 남의 일 아니다

▲ 이투데이 = 한류열풍 탄 외국인 관광객 주목을

▲ 전자신문 = AI창작물 권리 정립, 한발 앞서가자

▲ 파이낸셜뉴스 = 정부 적극 나서야 석화 구조조정 골든타임 지킨다

美 구금자 반인권 철저히 따지고 협상은 의연하게

▲ 한국경제 = '사법부 통제' 의구심 불식하려면 판사들 우려에 답해야

프랑스도 못 피한 신용등급 강등 … 재정중독 이렇게 무섭다

꽉 막힌 관세 협상, 감정적 대응보다 국익 지킬 대안 집중할 때

▲ 경북신문 = 푸틴, APEC 참석할까… 아직 불투명

▲ 경북일보 = 美 조지아 사태, 투자 협력 강화 계기로 삼아야

원전 산업화 경북, 탈원전 유턴 우려 크다

▲ 대경일보 = 테러,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한다

전기부족 심각한데 탈원전 회귀 우려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타이레놀 CEO, 美보건장관에 로비…"자폐증 원인으로 언급 말라"
유명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의 제조사가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자폐증 발병 원인으로 타이레놀을 언급하지 말아달라는 로비를 벌였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의 임시 최고경영자(CEO)인 커크 페리는 최근 로버트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과 비공개 회동을 하고 '타이레놀과 자폐증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없다'고 설득했다. 페리 CEO는 기존의 연구 결과 임신부의 열을 내리는 데 있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약물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의학계와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신 중 특정 시기에 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아세트아미노펜 대체 약물을 복용하면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WSJ이 지난 5일 케네디 장관이 조만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과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이후 급하게 추진됐다. 이 보도가 나오자 켄뷰의 주가는 장중 9% 하락했고, 회사 경영진은 정부 보고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켄뷰는 성명에서 "우리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