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성지' 종로·제기동도 옛말…서울 어르신 행선지 보니

팁골공원 주변 종로 일대 지하철 무임하차 비중 감소
대신 고속터미널·사당·잠실 등 많이 찾아…"노인도 번화가가 좋아"

 '어르신들의 성지'로 불렸던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 최근 장기판이 사라지면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서울 종로구청과 종로경찰서는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으로 국가유산 사적인 탑골공원을 보호하기 위해 바둑, 장기 등 오락 행위를 제한했다.

 특히 장기판 자진 철거를 유도하면서 무질서한 행위가 크게 줄고 공원 환경이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한편으로는 노인들이 갈 곳을 잃었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동안 탑골공원 인근의 종로3가역을 중심으로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등 서울 지하철 1호선 일대가 노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으로 알려졌다.

 서울 지하철의 무임 승하차 데이터를 토대로 노인들이 가고 있는 곳을 확인해봤다.

 올해 7월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무임교통카드 보유자 중 84%는 만 65세 이상 노인이고, 나머지 16%는 장애인이다. 이를 통해 대략적인 노인들의 행선지를 유추해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무임하차 장소 중 종로3가·제기동·청량리 등 전통적인 '노인의 성지' 비중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대신 고속터미널이나 사당, 잠실 같은 번화가로 향하는 노인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발길 줄어든 종로3가…순위 밀려난 청량리·제기동

 무임하차역 1∼3위는 오랫동안 종로3가, 청량리, 제기동역이었다. 그러다 2021년을 기점으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2015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서울 지하철 무임 승하차 인원을 분석한 결과, 전체 하차역 가운데 이들 세 역의 비중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시 지하철 무임하차역 비율

 2018년에 서울시가 공개한 무임교통카드 이용 현황에 따르면 당시 무임승차자의 하차역 1위는 종로3가역으로, 1.7%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청량리역(1.5%), 제기동역(1.2%)이 뒤를 이었다.

 종로3가역은 2015년 이후부터 '부동의 1위'다. 그러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5년에는 무임하차역 중 종로3가역 비중이 2.44%였지만 2021년에는 1.99%로 줄어들었고 지난해에는 다시 1.82%로 감소했다.

 '노인의 강남'이라 불리는 제기동역과 청량리역은 감소세가 더 눈에 띈다. 제기동역의 경우 전체 하차 인원 중 무임교통카드 이용자가 절반에 달할 정도로 노인 비중이 높은 곳이긴 하다.

 그러나 무임하차역 순위는 2015년 3위에서 지난해에는 5위로 떨어졌다.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대신 상위권에 오른 역은 고속터미널, 사당, 잠실역이다.

[표] 서울 지하철 1~9호선 무임 하차역 순위 변화

 

2015년 2021년 2024년
순위 지하철역 비율(%) 지하철역 비율(%) 지하철역 비율(%)
1 종로3가 2.44 종로3가 1.99 종로3가 1.82
2 청량리(지하) 1.56 제기동 1.37 고속터미널 1.53
3 제기동 1.5 고속터미널 1.28 사당 1.31
4 고속터미널 1.34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1.28 노원 1.27
5 동대문 1.31 동대문 1.25 잠실(송파구청) 1.24
6 사당 1.25 종로5가 1.17 제기동 1.2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올해 1∼8월에도 지난해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무임하차역 1위는 종로3가로 1.65%로 1위를 기록했고, 이어 고속터미널(1.56%), 잠실(1.21%)이 2, 3위를 기록했다.

 무임하차 인원으로 보면 종로3가에 42만2천여명이 내렸고 고속터미널에 40만명이 내렸다. 잠실역에서 하차한 무임교통카드 이용자는 30만8천명이었다.

[표] 올해 6월~8월 서울 지하철 1~9호선 무임 하차역 순위

 

2025년 8월 2025년 7월 2025년 6월
순위 지하철역 무임하차 인원 비율(%) 지하철역 무임하차 인원 비율(%) 지하철역 무임하차 인원 비율(%)
1 종로3가 422,075 1.65 종로3가 431,217 1.72 종로3가 445,710 1.77
2 고속터미널 400,048 1.56 고속터미널 410,808 1.64 고속터미널 396,235 1.57
3 잠실(송파구청) 308,835 1.21 잠실(송파구청) 324,150 1.3 사당 345,923 1.37
4 서울역 300,062 1.17 사당 311,059 1.24 잠실(송파구청) 312,399 1.24
5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298,099 1.16 서울역 295,870 1.18 서울역 308,762 1.22
6 사당 296,733 1.16 천호(풍납토성) 289,762 1.16 동대문 291,016 1.15

 

※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 각종 정비사업·코로나19 계기…종로 대신 고속터미널·사당으로

 무임하차역 중 종로3가역 비중이 줄어든 데는 우선 서울시의 꾸준한 탑골공원 정비 사업이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시행된 오락 금지행위 외에도 2000년대부터 탑골공원은 여러 차례 탈바꿈을 시도했다.

 한국조경학회의 '탑골공원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2001년 처음 '탑골공원 성역화 사업'으로 노인들의 행동이 제한됐다.

 이 사업으로 공원에 녹지공간이 확대됐고 여유 공간은 대폭 줄어들었다.

 2010년대에는 문화재 조사 등으로 공원 한 쪽을 막기도 했고 종로구청은 2022년 탑골공원 개선 사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2010년대 '노인의 강남'으로 떠올랐던 제기동·청량리 일대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발길이 줄어들었다.

 이 일대에서 노인들이 많이 찾았던 콜라텍들이 불황을 겪고 있는 점도 제기동·청량리 지역의 인기가 시들해졌음을 방증한다.

 제기동의 한 콜라텍 직원은 "2018년 전성기 때는 하루에 1천명씩 왔지만, 요즘은 150명 정도 온다"며 "60∼70대 '젊은 고객'이 유입이 돼야 하는데 손님이 없다.

 지금 단골은 80대와 90대가 대부분이라 코로나19 이후 돌아가신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청량리에 있는 대형 콜라텍 사장도 "3년째 운영비를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청량리에 노인이 많다고 하는데 유흥을 즐기러 오는 경우는 줄었다"고 말했다.

 이 콜라텍은 손님을 끌어들이기 위해 오후 4시부터 무료입장을 내걸었다.

 제기동과 청량리역에서 내리는 노인들이 줄어들었다면 이들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최근 몇 년간 무임교통카드 이용자들이 내리는 곳 중에서 고속터미널·사당·잠실과 같은 번화가 비중이 증가했다.

 고속터미널역은 2015년 전체 무임하차역 중 1.34%를 차지했지만, 꾸준히 비중이 늘면서 지난해에는 1.53%를 기록했고 전체 순위 2위에 올랐다. 또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순위가 내려간 대신 사당역이 3위로 올랐다.

 사당역은 유임하차 순위보다 무임하차 순위가 높은 곳으로, 노인들 사이에서도 '약속의 장소'로 통한다.

 지난 11일 오후 사당역 인근 대형 쇼핑몰에는 평일 낮임에도 불구하고 휴게 의자에 앉아있는 노인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등산모임 친구를 만나러 사당에 온 임철규(82) 씨도 2년 전부터 종로3가역에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 씨는 "나도 노인이지만 노인들 많은 곳이 싫다.

 사당, 선릉역처럼 젊은 사람들 다니는 번화가에 있고 싶다"며 "사당역은 교통의 요지라 친구들 만나기도 편하고 거리가 깨끗해서 선호한다"고 말했다.

[표] 2024년 서울 지하철 1~9호선 유·무임 하차역 순위

 

순위 유임하차 순위 무임하차 순위
1 잠실(송파구청) 종로3가
2 고속터미널 고속터미널
3 강남 사당
4 홍대입구 노원
5 서울역 잠실(송파구청)
6 사당 제기동
7 여의도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8 삼성(무역센터) 동대문
9 구로디지털단지 서울역
10 신림 연신내

 

※출처: 서울시 공공데이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치매 100만명시대…'어리석다' 뜻 담긴 용어 개정 논의 힘받을까
올해 치매 환자가 100만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21일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어리석다'는 뜻이 담긴 치매란 용어를 바꾸자는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22대 국회에는 법률상 치매란 용어를 인지저하증이나 뇌 인지저하증, 인지증, 신경인지장애 등으로 바꾸자는 내용의 치매관리법 개정안 4건이 발의돼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의 뇌 손상으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한자로 '어리석을 치(癡)'와 '어리석을 매(呆)' 자를 쓴다. 이런 부정적인 단어가 환자와 가족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조기 발견과 적기 치료에도 방해가 되는 만큼 보다 가치 중립적인 단어로 명칭을 바꾸자는 게 법안들의 취지다. 법률상 용어가 바뀌면 치매안심센터 등의 기관명과 각종 정부 사업의 명칭도 바뀌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치매란 용어는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편견을 유발하므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2023년 전문가와 환자 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치매용어 개정협의체'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실제 개정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당시 협의체는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건강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렇다면 건강하지 않은 식품이란 무엇일까? 바로 식품에 여러 첨가물이 들어간 것이다. 건강하지 못한 식품일수록 첨가물이 많으며, 그 첨가물은 전부 다 화학물질로 이뤄져 있다. 독자 여러분은 식탁에 놓인 여러 가지 음식물을 먹게 되는데, 거기에 화학물질이 대단히 많다. 물론 아주 적은 양을 한두 번 혹은 짧은 기간만 복용하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장기간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좋지 않다. 요즘은 식품을 많이, 그리고 오래 팔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물을 사용한다. 첨가물은 식품에 특정한 맛을 내거나 부패를 방지하고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또는 생산 비용을 줄이거나 식품을 쉽게 만들기 위해 쓴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식품첨가물은 방부제다. 방부제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부패나 변질을 방지해 식품의 저장 기간을 늘리는 목적으로 쓰였다. 고추장, 된장, 단무지, 햄, 치즈, 초콜릿, 청량음료 등 대개 모든 보존식품에 방부제가 들어간다. 산화로 인한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저장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산화방지제, 식품에 특정 색소를 더하거나 복원하는 데 사용하는 착색제, 맛이나 향미를 증진하는 향미증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