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인한 폭염, 대기보다 하천서 더 빠르게 증가"

美 연구팀 "하천 폭염 빈도·지속기간·강도 증가 속도, 대기의 2~4배"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의 강도와 빈도가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하천 수온이 높아지는 하천 폭염 발생이 대기 폭염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Penn State) 리 리 교수팀은 23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1980~2022년 미국 내 하천 1천471개 지점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하천 폭염 증가 속도가 대기 폭염 증가 속도보다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리 교수는 "이 결과는 하천 폭염이 대기 폭염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첫 연구"라며 "분석 결과 하천의 폭염 빈도, 지속시간, 강도 증가 속도가 대기 폭염의 2~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수온 센서와 위성 모니터링이 늘었지만, 전 세계 강의 약 4분의 3은 위성 관측에서 벗어나 있고 데이터가 대부분 단편적이어서 하천 폭염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심층학습 기법(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이용해 1980~2022년 미국 내 하천 1천471개 지점의 일관되고 연속적인 일일 수온(WT)을 재구성해 하천 폭염 발생을 분석했다.

 하천 폭염은 수온이 계절별 상위 10% 이상을 최소 5일 연속 초과할 때로, 대기 폭염은 기온이 같은 기준을 3일 이상 초과할 때로 정해 발생 빈도, 지속시간, 강도, 누적 강도 등을 계산했다.

 그 결과 하천 폭염 발생 빈도는 연 2.3회로 대기 폭염(4.6회)의 절반 수준, 폭염 강도는 3분의 1 수준(2.6℃ 대 7.7℃)이고, 지속시간은 거의 두 배(7.2일 대 4.0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980년 이후 폭염 증가 속도는 하천이 대기보다 2~4배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하천 폭염은 1980년보다 빈도가 연 1.8회, 강도가 0.42℃, 지속기간이 3.4일 증가했으며, 수생 생태계의 열 스트레스 일수도 7~15일이 더 많아졌다.

 논문 제1 저자인 카얄비즈히 사다야판 박사는 "하천 폭염 가속화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강의 극심한 고온과 수량 감소 위험을 동시에 높여 어류 등 수생 생물의 대규모 폐사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하천 폭염 증가의 주요인으로 온난화로 줄어드는 적설량 등 기후변화를 지목하고, 댐과 농업 같은 인간 활동도 강이 어디에서, 어떻게 취약해지는를 결정하는 데 이차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결과는 하천 폭염 증가를 모니터링하고 완화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며 이 연구가 취약한 강 생태계와 그에 의존하는 사람들을 폭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 인센티브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출처 : PNAS, Li Li et al., 'Riverine heat waves on the rise, outpacing air heat waves', https://www.pnas.org/cgi/doi/10.1073/pnas.2503160122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수술만 답 아니다"…'추나·침'에 주목하는 메이요클리닉
허리가 아파 오래 걷지 못하고, 엉덩이와 다리로 저릿한 통증이 뻗어나간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을 의심해야 한다. 척추뼈가 제자리에서 앞으로 밀려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한 허리 협착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 전방전위증을 동반한다. 보통 이런 전방전위증에는 신경주사로 통증을 완화하거나, 불안정해진 척추뼈를 나사로 고정하는 척추유합술이 권유된다. 하지만 이 같은 통념에 변화를 줄 만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내 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이 공동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추나와 침 치료를 중심으로 한 한방치료가 신경주사나 진통제 같은 양방 치료보다 허리·다리 통증 완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번 연구는 모커리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 통증센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11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2017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년 이상 진행됐고, 준비기간을 포함하면 꼬박 10년이 걸린 대규모 프로젝트다. 연구팀은 총 115명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대상으로 58명에게는 이완추나와 침치료, 생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