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폐렴구균 국가접종 신규백신 도입…예방 혈청형 5종 추가

 질병관리청은 10월부터  소아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에 신규 백신인 20가 단백결합백신(PCV20)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백신에 붙는 숫자는 예방할 수 있는 폐렴구균 혈청형 수를 뜻한다.

 이번에 도입된 PCV20 백신은 기존에 접종되던 PCV15에서 예방 가능한 혈청형이 5종(8, 10A, 11A, 12F, 15B) 늘어나 효과가 더욱 커졌다.

 폐렴구균은 영유아에게 중이염, 폐렴, 수막염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는 2014년부터 소아 국가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이미 기존 백신인 PCV13으로 접종을 시작한 경우라도 새로운 PCV20으로 교차 접종이 가능하다. 

 다만 PCV15로 접종을 시작했다면 동일 백신을 추가로 맞는 것이 권장된다.

 대상자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nip.kdca.go.kr)에서 위탁의료기관을 찾아 신분증 확인 후 접종하면 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방사성의약품, 항암 '게임체인저' 될까
'방사성'과 '의약품'은 생소한 조합처럼 느껴질 수 있다. 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펩타이드나 항체 등 표적 물질에 결합하면 방사성의약품이 된다.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방사성의약품 치료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펩타이드나 항체 등 표적 분자에 결합해 이 분자가 암세포 표면의 특정 마커에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표적 분자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암세포에 정확히 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방출된 방사선이 암세포 디옥시리보핵산(DNA)을 손상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방사선을 활용해 종양을 치료하는 개념은 1800년대 후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내부 종양에 외부 방사선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돼왔다. 전신 방사성의약품을 암 치료제로 처음 사용한 건 1940년대로 당시 의료진은 갑상선암 치료에 방사성 요오드를 활용했다. 다만 초기 상용화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종양 특이성이 부족해 체내 안전성 측면에 한계를 보였다. 최근에는 종양 내 흡수율과 체내 유지력을 향상하기 위해 방사성동위원소가 결합된 소분자, 펩타이드, 항체 기반의 의약품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오늘날 대표적 방사성의약품으로는 노바티스의 '루타테라'와 '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