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폐렴구균 국가접종 신규백신 도입…예방 혈청형 5종 추가

 질병관리청은 10월부터  소아 폐렴구균 국가예방접종에 신규 백신인 20가 단백결합백신(PCV20)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백신에 붙는 숫자는 예방할 수 있는 폐렴구균 혈청형 수를 뜻한다.

 이번에 도입된 PCV20 백신은 기존에 접종되던 PCV15에서 예방 가능한 혈청형이 5종(8, 10A, 11A, 12F, 15B) 늘어나 효과가 더욱 커졌다.

 폐렴구균은 영유아에게 중이염, 폐렴, 수막염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는 2014년부터 소아 국가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이미 기존 백신인 PCV13으로 접종을 시작한 경우라도 새로운 PCV20으로 교차 접종이 가능하다. 

 다만 PCV15로 접종을 시작했다면 동일 백신을 추가로 맞는 것이 권장된다.

 대상자는 주소지와 관계없이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nip.kdca.go.kr)에서 위탁의료기관을 찾아 신분증 확인 후 접종하면 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