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결핵 환자가 최근 10년 절반 넘게 줄었지만, 요양병원이나 노인복지시설에서는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결핵환자는 지난해 1만7천944명으로, 2015년(4만847명)보다 56.1% 줄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발생률도 같은 기간 80.2명에서 35.2명으로 감소했다.
![[질병관리청 제공]](http://img0.yna.co.kr/etc/inner/KR/2025/10/01/AKR20251001038600530_02_i_P4.jpg)
그러나 노인 입소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의 환자 발생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질병청의 설명이다.
실제 65세 이상 환자 비중은 2020년 48.5%에서 2021년 51.0%로 절반을 넘긴 뒤 2022년 55.4%, 2023년 57.9% 등으로 커졌다.
요양·여가·주거복지시설 등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도 2019년 807건에서 지난해 967건으로 19.8% 늘었다.
이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는 지난해 전체 역학조사(1천347건)의 71.8%를 차지했다.
환자가 지속해서 발생하자 질병청은 노인 시설 등 현장 종사자를 위한 결핵 대응 안내서를 마련해 배포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 수습이 끝나면 질병청 홈페이지에서도 국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이번 매뉴얼은 결핵 취약 시설에 특화된 지침으로, 결핵의 조기 전파를 차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