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피우는 30대男, 9년 사이 20% 줄었다…"냄새 눈치 보여"

30대 남성 일반담배 흡연율 2015년 48% → 2024년 29%
전자담배 아우르는 전체 흡연율 감소는 그에 못 미쳐

 애연가인 최모(36)씨는 연초를 선호하지만 일과 시간에는 가능하면 전자담배를 피운다.

 연초보다 몸에 배는 냄새가 덜하기 때문이다.

 최씨는 "연초는 피울 때도 냄새가 나지만 손과 옷에도 냄새가 배는데 여자친구와 동료들이 싫어한다"며 "맛이나 타격감은 연초가 훨씬 좋지만, 다른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전자담배를 피운다"고 말했다.

 10일 질병관리청의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일반담배(궐련)를 피우는 30대 남성의 비율은 지난해 28.5%로, 9년 전인 2015년(48.0%)보다 19.5%포인트(p) 낮아졌다.

 반면 50대 이상 남성의 일반담배 흡연율과 2015년 대비 증감률은 50대(34.1%, -2.4%), 60대(26.4%, +0.3%p), 70대 이상(13.5%, -3.5%p) 등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활발하게 사회 활동을 하는 젊은 층에서 일반담배 흡연율 감소가 두드러졌던 셈이다.

 다만 일반담배와 액상형·궐련형 전자담배, 기타 담배를 아우르는 '담배제품 사용률' 감소폭은 그에 한참 못 미쳤다.

 담배제품 사용률 통계는 2019년부터 발표됐는데, 지난해 30대 남성의 담배제품 사용률(40.1%)은 2019년보다 4.9%p 내리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30대 남성의 일반 담배 흡연율은 10.7%p 내렸다.

 같은 기간 19∼29세 남성의 담배제품 사용률 감소 폭(10.5%p)도 일반담배 흡연율 감소 폭(15.2%p)에 한참 못 미쳤다.

 40대 남성의 경우 일반담배 흡연율은 1%p 내렸지만, 담배제품 사용률은 오히려 1.6%p 올랐다.

전자담배 등 대체제 사용이 늘어난 것이 일반담배 흡연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 걸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일부 흡연자는 건강에 덜 해로울 것이란 생각에 전자담배를 이용하지만, 전자담배도 유해하기는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알리기 위해 '이래도, 전담하시겠습니까', '전담하지마, 전담도 노담' 등의 광고와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월스트리트저널 "美, 복제약은 의약품 관세서 제외 계획"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은 제외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보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복제 의약품을 상대로 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관세 조사를 담당하는 상무부의 대변인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서 복제약 관세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해가 되는 수입을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상무부에 의약품에 대한 관세 조사를 지시했으며 상무부는 지난 4월부터 조사를 진행해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의약품과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후 행정부가 제약사 와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관세 부과를 연기했다. 복제약을 관세에서 제외하기로 한 이번 방침은 최종 결정이 아니며 향후 바뀔 수도 있다고 WSJ은 보도했다. 복제약은 미국인이 매일 사용하는 의약품의 약 90%를 차지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