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할 때 담배 피우면 치매 위험 크게 높아진다"

우울증 진단 129만명 분석…"흡연 계속한 환자, 치매 위험 34% 높아"
약해진 뇌에 흡연이 신경염증·혈관손상 가속화…"꼭 금연해야"

  흡연하는 사람들은 흔히 우울할 때 담배가 더 당긴다고 말하지만, 우울증 상태에서 담배를 피우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전홍진, 장유진)·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한경도)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09∼2012년 새롭게 우울증을 진단받은 40세 이상 129만530명을 대상으로 2020년까지 평균 4.26년을 추적한 결과 흡연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6일 밝혔다.

 이 기간에 치매 발생이 확인된 우울증 환자는 총 5만8천885명(4.56%)이었다.

 이 결과 지속 흡연군(14만1천791명)의 치매 발생 위험은 비흡연 유지군(107만3천517명)에 견줘 1.34배 높았다.

 흡연 중단군(4만8천411명)과 흡연 시작군(2만6천811명)도 같은 비교 조건에서 각각 1.26배, 1.25배의 위험도를 보였다.

 치매의 유형별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 치매의 8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지속 흡연군의 위험도는 1.32배로 가장 높았고, 흡연 중단군과 시작군은 각각 1.26배였다.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뇌혈관 손상이 원인인 혈관성 치매는 지속 흡연군이 1.52배, 흡연 중단군이 1.47배로 나타나 흡연의 영향이 더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흡연은 뇌 혈류를 저하해 신경세포의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담배 연기 속 독성 물질이 뇌신경에 염증 반응과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며 "이런 변화가 우울증으로 이미  취약해진 뇌 환경과 맞물릴 경우 치매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실 우울증은 단순한 기분 문제가 아니다.

 지속적인 슬픔, 무기력,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등이 동반되는 대표적인 정신건강 질환으로, 평생 유병률이 7∼8%에 이를 만큼 흔하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의 뇌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과다 분비와 염증 반응이 일어나며,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해마가 위축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런 변화가 장기적으로 인지 저하를 초래해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흡연이 더해지면 상황은 훨씬 나빠진다.

 흡연은 그 자체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동맥경화를 촉진해 뇌 혈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니코틴과 일산화탄소 등 독성 물질이 신경세포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결국 우울증으로 인한 신경 염증과 흡연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상호작용해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의 병태생리를 함께 악화시키는 셈이다.

 전홍진 교수는 "우울증 자체가 치매의 전(前) 단계로 작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 흡연이 더해지면 신경 염증과 혈관 손상이 가속화된다"며 "우울증 진단 이후의 금연은 뇌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울증 환자는 금연 의지가 낮고 재흡연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신건강의학적 치료와 금연 상담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특히 중년기(40∼50대)에 우울증 진단을 받은 사람은 조기 금연을 통해 뇌 노화를 늦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정신의학 국제학술지(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최신호에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임신기 비타민D 섭취, 미세먼지로 인한 태아 신장손상 완화"
임신기에 비타민D를 섭취하면 미세먼지로 손상된 모체와 태아의 신장을 일부 회복시킬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임형은 교수 연구팀은 흰쥐를 이용한 동물 모델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신한 흰쥐 9마리를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미세먼지(PM 2.5) 단독 투여군, 미세먼지와 비타민D 병용 투여군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후 새끼 쥐의 신장 형성기인 임신 11일째부터 출산 후 21일까지 각 물질을 그룹별로 경구 투여해 산모와 새끼 쥐의 신장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임신기 미세먼지에 노출된 어미와 새끼 쥐는 모두 사구체 손상과 세뇨관 간질 손상 등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타민D 병용 투여군에서는 미세먼지 단독 투여군과 달리 혈류 조절, 염증 조절 기능 등이 회복돼 신장 손상이 덜한 모습이 관찰됐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산모의 비타민D 섭취가 미세먼지로 인한 산모와 자손의 신장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모체·태아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영양 중재(영양문제 해결) 연구와 신약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