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기기와 대화하며 뇌졸중 이상 신호 발견한다"

삼성서울병원 주관 다기관 컨소시엄, 미래형 건강관리 기술 공개

 스마트폰으로 인공지능(AI) 프로그램과 대화하면서 뇌졸중 신호를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 서우근 신경과 교수는 최근 스마트기기와 대화하며 생체 신호로 건강 이상을 감지하는 미래형 건강관리 기술을 공개했다.

 이 기술은 피지컬 AI를 통해 분석한 생체 기반 건강 신호를 챗GPT 같은 거대언어모델(LLM)과 결합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 외에 별도의 장비 없이 맥박을 측정하거나 발음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전자의무기록(EHR), 자기공명영상(MRI) 등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는 뇌혈관 질환 예측 모델을 적용해 이 기술을 의료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어뒀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구진은 특히 이번 기술을 개발하면서 300회 이상 반복적으로 평가했는데 기존 LLM의 단점인 '환각 현상'(hallucina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환각 현상은 사실이 아니거나 근거가 없는 내용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생성해내는 것으로, AI 프로그램의 치명적인 한계점으로 꼽힌다.

 서우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이 환자들의 실제 일상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라며 "기술을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주관으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서울아산병원, 한양대학교구리병원, 인천대학교가 컨소시엄을 꾸려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으며 3년간 진행했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와 관련된 기술 1건을 국내에 특허 등록했으며 의료기관과 환자를 대상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공공의료 재건 위한 시대적 과제"
보건·시민·노동단체들이 국립대병원의 소관부처 이관은 "지역·공공의료 재건을 위한 시대적 과제"라며 정부와 국회를 향해 일제히 조속한 입법과 추진을 촉구했다. 양대 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의료연대본부, 참여연대, 보건의료단체연합,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등이 속한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지난 25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추진 중인 국립대병원의 보건복지부 이관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사회대개혁 과제"라고 말했다. 정부는 국립대병원을 지역 거점병원으로 육성해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 국립대병원 소관부처를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옮기기로 하고, 국립대학병원설치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이관을 앞두고 복지부와 교육부, 국립대병원장들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데, 국립대병원장들은 교육·연구역량 위축 우려 등을 들어 이관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수십 년간 국립대병원은 교육부 산하에 있으면서 '공공병원'으로서의 정체성보다 몸집 불리기와 수익성 추구에 내몰려왔다"며 "관리·감독 사각지대에서 국립대병원은 민간 대형병원과 다를 바 없는 무한 경쟁에 뛰어들었고, 그 결과 공공성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