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11.28
(금)
동두천 5.0℃
맑음
강릉 9.3℃
맑음
서울 6.5℃
맑음
대전 8.2℃
맑음
대구 9.5℃
맑음
울산 9.9℃
맑음
광주 9.3℃
맑음
부산 11.1℃
맑음
고창 8.7℃
맑음
제주 12.1℃
맑음
강화 5.4℃
맑음
보은 6.5℃
맑음
금산 7.8℃
맑음
강진군 10.1℃
맑음
경주시 9.2℃
맑음
거제 7.9℃
맑음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전체기사
홈
전체기사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암 의료비 지원 문턱 낮춘다…4인 가구 월 779만원까지
내년부터 소아암 환자 의료비 지원의 문턱이 대폭 낮아진다. 정부는 고물가 시대 가계의 의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소득과 재산 기준을 현실화하고 복잡했던 행정 절차를 다듬어 지원 사각지대를 해소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암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기준 등에 관한 고시' 일부개정안을 공개하고,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번 개정은 단순한 수치 조정을 넘어 환자 가족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이번 개정의 핵심은 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소득 기준의 상향이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의 120%를 적용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4인 가구 기준이다. 월 소득이 779만3천686원 이하인 4인 가구라면 소아암 의료비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3인 가구는 월 643만843원, 2인 가구는 503만9천150원, 1인 가구는 307만7천86원이 기준선이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기준 금액도 늘어나 5인 가구는 906만원대, 6인 가구는 1천만원대까지 지원 범위가 넓어진다. 재산 기준 역시 가구 규모에 맞춰 세분화됐다. 4인 가구의 경우 약 4억8천389만원 이하
내년도 상반기 전공의 모집공고…인턴 상하반기로 나눠 채용
의협 "국민 70%, 약사 대체조제 약보다 의사 처방약 선호"
수원 서부권역에 706병상 덕산종합병원 12월 개원
국가관리 희귀질환에 '선천성 기능성 단장증후군' 등 75개 추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명 가수, 덜 유명한 가수보다 조기 사망 위험 33% 높아"
'유명세'도 사망 위험 요인일까? 미국과 유럽 가수들에 대한 연구에서 유명 가수들의 조기 사망 위험이 덜 유명한 가수들보다 33% 높으며 이로 인해 약 4년 일찍 사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독일 비텐-헤르데케대학 미하엘 두프너 박사팀은 국제학술지 역학·지역사회 보건 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에서 미국·유럽 가수 중 스타 324명과 덜 유명한 324 명을 대상으로 한 사망 위험 분석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7알 벍혔다. 연구팀은 엄격한 검증 결과 유명세 자체가 중요한 수명 단축 요인일 수 있고, 위험 정도는 '간헐적 흡연'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대중의 주목을 받는 유명인의 취약성과 그들에 대한 보호 및 지원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전 연구들은 유명 가수들이 일반인보다 더 일찍 사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그 원인이 유명세 자체 때문인지, 음악산업이 가수에게 주는 부담 때문인지, 또는 가수들의 생활 방식 때문인지 등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비평가·전문가 평가 기반 음악·가수 랭킹 사이트(acclaimedmusic.net)의 '역대
초고령사회에 노인 심부전 환자 급증…80세 이상 4명 중 1명
내성 문제 심각한데…韓 외래항생제 처방률 OECD 최상위권
작년 가장 많았던 건보 수술은 백내장 수술…제왕절개 9%↑
'건강100세 운동교실' 참여자 75%, 건강기능 개선·유지
메디칼산업
더보기
'2025년 바이오산업의 날'…유공자 34명 정부포상
산업통상부는 2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2025년 바이오산업의 날' 행사를 열고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등에 총 34점의 정부 포상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바이오특화센터협의회, 스마트의료기기산업재단과 공동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는 유공자 시상식과 함께 'AI 바이오 얼라이언스' 발대식도 함께 진행됐다. 정부 포상은 10개 분야별로 이뤄졌다. 김창호 SK바이오사이언스 팀장(인력양성), 전태연 알테오젠 부사장(수출증대), 신용우 도프 대표이사(고용창출), 한종철 마이크로트 대표(혁신성장), 김석훈 이니바이오 공동대표(생물보안), 정연철 얼라인드제네틱스 대표이사(R&D) 등 34명이 산업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능력은 지난 2021년 기준 38만5천ℓ 규모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1위 미국(48만6천ℓ)의 80% 수준이며 3위 독일(24만6천ℓ)보다 1.5배 이상 크다. 이날 출범한 'AI 바이오 얼라이언스'는 지난 9월 민관연이 합동으로 출범한 'M.AX(제조 AI 전환) 얼라이언스'의 한 분과다. 이를 통해 국내 바이오 기업, AI 기업, 지원기관이
한미약품, 미국 면역항암학회서 HM16390 연구 결과 4건 발표
약국광고에 '최고·창고형·특가' 못써…약사법 하위법 입법예고
아클립스, 메이요 클리닉과 로베글리타존 임상 2상 협약
알테오젠, 혁신형 제약기업 부문 복지부 장관 표창
오늘의 일정
더보기
[오늘의 주요 일정](28일·금)
[오늘의 증시일정](28일)
[전국 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8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