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겨울 정기 문화공연 성황리 개최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문화예술 정기공연 성료… 최고 예술공항 ‘극찬’
‘동전모아 사랑나눔 기부 캠페인’ 통해 장애아동 등에게 따뜻한 겨울 선물

(미디어온)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2018년의 마지막 문화예술 정기공연인 ‘Share Your Heart Concert’가 12월 19일부터 22일까지 4일 간의 화려한 공연을 마치고 성황리에 폐막했다고 밝혔다.

이번 겨울 정기공연에는 JK 김동욱, 박기영, 민우혁, 크러쉬 등 실력파 아티스트가 대거 출동해 제2여객터미널 그레이트홀 무대에서 4일 간 매일 다른 장르의 콘서트를 펼쳐 공연마다 인천공항을 찾은 1000명 내외의 국내외 관람객들로부터 열렬한 환호와 박수갈채를 받았다.

이번 공연은 ‘동전모아 사랑나눔 기부 캠페인’과 연계행사로 진행되어 연말을 맞아 여행객들이 공연을 즐기는 동시에 어려운 이웃에게 따뜻한 겨울을 선물할 수 있는 뜻 깊은 행사로 기획되었다. 인천공항공사는 공연 첫날인 19일에 기부금 전달식을 열고 대한적십자사에 5000만원의 기부금을 전달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12월 1일부터 25일까지 공연장과 인천공항 곳곳에 설치한 모금함을 통해 성금을 모금했다. 해당 기부금은 장애아동과 의료취약계층의 재활치료를 지원하는 대한적십자사의 ‘Happy Move’ 프로그램에 사용될 예정이다.

공연 첫날인 지난 12월 19일 열린 ‘발라드 콘서트’에서는 교향악단 ‘트리니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가수 박기영, 뮤지컬배우 민우혁이 레미제라블 ‘Empty chairs at empty tables’, 영화 미션의 ‘넬라 판타지아’ 등을 열창했으며, 20일 열린 ‘재즈 콘서트’에서는 JK 김동욱 밴드가 ‘미련한사랑’, ‘Autumn leaves’, ‘Ain't No Sunshine’ 등의 곡을 선보이며 화려한 공연을 펼쳐 관람객으로부터 최고의 공연이란 극찬을 받았다.

21일 열린 ‘뮤지컬 콘서트’에서는 ‘보로딘 심포니 오케스트라’ 30인조와 팝페라 가수 박완, 성악가 신현선이 오페라의 유령 ‘팬텀 오브 디 오페라’와 ‘피가로의 결혼 서곡’ 등의 명곡을 선사했고, 공연 마지막 날인 22일의 ‘K-POP 콘서트’에서는 인기가수 크러쉬와 펀치가 도깨비 OST ‘Stay with me’와 ‘Beautiful’, 히트곡 ‘Oasis’ 등을 열창해 인천공항을 젊음의 열기로 가득 채우며 올해 마지막 정기공연의 대미를 장식했다.

연말을 맞아 가족들과 인천공항을 찾은 관람객들은 다채롭고 화려한 퍼포먼스를 감상하는 동시에 동전모아 사랑나눔 기부 캠페인에 동참해 장애인과 의료취약계층을 돕는 뜻 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한편 인천공항은 대표적인 ‘컬쳐포트’로 사랑받고 있는 제1여객터미널에서 지난 2018년 개최한 인천공항 개항 17주년 기념 봄 정기공연을 비롯해, 2018년 초 개장한 제2여객터미널을 세계 최고의 ‘아트포트’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 콘서트’, 5월 ‘First Blossom Art Concert’, 8월 ‘Art Splashing Summer Concert’, 12월 ‘Share Your Heart Concert’ 등 2018년 총 5차례의 대규모 정기공연을 진행해 왔다.

평소 만나보기 힘든 국내 정상급 아티스트들이 대거 참가해 수준 높은 문화예술 공연을 펼친 데다 다양한 장르와 주제, 이벤트와 더불어 관람객과 호흡하는 공연을 기획한 결과 2018년 인천공항 문화예술 정기공연에는 총 2만여명의 관람객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인천공항은 정기공연 외에도 365일 상설공연, 한국전통문화공연 등 연간 1만1650여회의 문화예술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은 2019년에도 고품격 예술공연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최고의 문화예술 공항으로 자리매김하고 이와 함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함께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빈자리 채우는' PA 간호사에 수당 지급…"보상 강화"
정부가 비상진료체계에서 전공의의 업무공백을 채우고 있는 '진료지원'(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에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는 등 보상을 강화한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말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진료지원간호사의 규모가 확대되고 업무량 및 업무난이도가 증가한 데 따라 이들에 대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업무 공백이 커지자, 정부는 간호사들이 숙련도에 따라 응급환자 약물 투여, 수술 보조 등 일부 의사의 업무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전공의가 없는 병원에서 전문의와 진료지원간호사가 팀을 이뤄 업무를 맡는 경우가 많아졌고, 진료지원간호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애초 1만명 수준이었던 진료지원간호사는 최근에 1만3천여명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에 소속된 진료지원간호사에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기로 결정하고, 최근 병원에 이러한 내용의 '진료지원간호사 지원사업'을 안내했다. 이로써 지난달 31일 기준 진료지원간호사로 병원에서 30일 이상 근무한 간호사는 근무 기간에 따라 최소 10만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마트폰과 SNS가 아이를 병들게 한다…신간 '불안 세대'
1980년대 이전의 미국 어린이는 놀이터에서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며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놀이기구를 즐겼다. 예를 들어 또래들이 힘을 모아 손잡이가 달린 원판형 기구를 돌리면 그 위에 타고 있는 친구들은 어지러운 기분을 즐기거나 매달리며 짜릿함을 느꼈다. 2010년대에는 이런 식의 놀이기구를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 눈에 보이는 안전은 개선됐지만 아이들이 다치지 않는 법을 터득할 기회는 줄어든다. 1996년 이후 태어난 이른바 Z세대의 경우 현실 세계에서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시간이 급격히 줄어든다. 이들이 사춘기에 접어들 무렵 고속 데이터 통신이 일반화되고 아이폰이 출시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2009년 '좋아요'나 '리트윗', 혹은 '공유' 버튼을 만들어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의 소통 방식을 확 바꿔놓았다. Z세대는 온라인에서 자신의 브랜드를 관리해야 하는 세대가 됐다. 친구나 인플루언서 게시물을 수시로 확인하고 비디오나 오락성 콘텐츠에 몰입한다. 이용자가 최대한 오래 머물게 디자인된 알고리듬이 어린이와 청소년이라도 예외로 두지는 않는다. 미국은 13세 미만이 계정을 만들 때 부모의 동의를 받도록 법제화했지만, 많은 아동이 가짜 생년월일을 입력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