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인테그레이션스, 새로운 파워 서플라이 트랜스포머로 SCALE-iDriver 게이트 드라이버 IC 제품군 보완

원스톱 솔루션으로 설계 및 인증 속도 향상

(미디어온) 중고압 인버터 애플리케이션용 게이트 드라이버 기술의 선도업체인 파워 인테그레이션스가 SCALE-iDriver™ 게이트 드라이버 제품군에 정확한 전압 및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갈바닉 절연 트랜스포머를 발표했다.

이 조합은 간단하면서 견고하고 비용 효율적인 DC-DC 컨버터 솔루션을 제공하고, 추가 전압 레귤레이션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비용과 개발 시간은 절감한다. SIT12xxI 트랜스포머 및 SCALE-iDriver IC는 모두 UL 및 VDE 승인을 받았다.

신형 SIT12xxI 트랜스포머는 신뢰성을 높여주는 혁신적인 절연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낮은 커플링 커패시턴스와 함께 우수한 절연 성능을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5V 또는 15V 입력 전압과 25V 출력 전압을 사용하는 600V와 1200V의 2-채널 SCALE-iDriver 게이트 드라이버에 사용할 수 있다. 단 9g에 불과한 완전 절연 트랜스포머로 포팅이 전혀 필요하지 않지만, 사용 수명 연장과 충격 및 진동에 대한 높은 내성 테스트를 통과한다. 또한 UL1446, UL61800-5-1, IEC61800-5-1, IEC61558-1, IEC61558-2-16를 충족한다.

파워 인테그레이션스의 게이트 드라이버 제품 마케팅 매니저인 Thorsten Schmidt은 “SCALE-iDriver IGBT 및 SiC-MOSFET 드라이버 IC 제품군은 파워 인테그레이션스의 FluxLink™ 자기 유도 양방향 통신 기술을 통해 1차측과 2차측 간의 강화된 갈바닉 절연을 보장하여 절연 무결성 및 안정성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당사는 완벽하게 매칭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개발, 자격 인증 소요 시간을 단축하면서 구매 프로세스를 더욱 간소화한다. 새로운 디자인의 트랜스포머 구조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며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절연 DC-DC 솔루션인 동시에 커먼 모드 노이즈 커플링을 최소화한다”고 설명한다.

SIT12xxI 트랜스포머는 10,000개 단위로 가격은 개당 $4.00이며, 기술 정보는 파워 인테그레이션스 웹 사이트 www.power.com/products/dc-dc-converters/sit12xxI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