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 신임 사장 겸 CEO에 수닐 프라샤라 임명

(미디어온)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가 이사회에서 수닐 프라샤라를 사장 겸 최고경영자로 임명했으며 이 임명은 즉시 발효된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수닐은 새로운 직책을 통해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의 300만명이 넘는 전문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PMI 글로벌 조직을 이끌어가는 수장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사회와 함께 PMI의 새로운 전략 계획의 실행을 감독하는 한편, 전세계 수백만명의 프로젝트 전문가들이 경력을 발전시키고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계한 미래를 향해 조직을 인도하게 된다.

PMI 이사회 의장이자 PMP이며 기술사인 랜들 블랙은 “PMI는 전 세계적으로 프로젝트 관리 실무를 발전시켜온 50년 동안의 성공적인 유산을 기반으로 앞으로 50년 그리고 그 이상을 위해 역동적인 새로운 과정들을 수립하고 있다”며 “수닐의 글로벌 리더십과 디지털 전환 전문성 및 PMI 목표에 대한 열정이 그를 차기 CEO로서 가장 적임자가 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닐의 지도력은 투명성과 협업이 강화되는 시대를 열어 PMI의 업무를 지원하는 회원과 자원 봉사자 및 이해관계자들에 활기를 불어넣는 한편 우리로 하여금 전세계 프로젝트 관리의 결과와 가치를 전달할 수 있게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전략 수립과 대규모 변혁 계획 실행, 국제 기업의 성장과 이익 과제 충족에 관한 한 견고한 실적을 보여준 수닐은 30년 넘게 쌓아온 소중한 글로벌 리더십을 PMI에서 보여줄 것이다.

수닐은 “기술은 세계가 사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번개와 같은 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PMI 팀과 협력해 조직의 전략 방향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향후 수년 동안 과감하고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실행하면서 업무현장의 변화 추세를 수용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회원과 자원 봉사자, 지부 및 프로젝트 전문가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가치를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대기업과 복합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로서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개인과 개인이 속한 조직에 성공을 가져다 주는 힘을 직접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수닐은 PMI에 합류하기 전, 디지털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2016년에 설립되어 국제적으로 성장한 판매 촉진업체인 영국 아이원투의 CEO로 재직했다. 그 이전에는 익스피리오 인터내셔널의 CEO로 일하는 등 정보통신기술 및 통신 업계 전반에서 다수의 임원직을 맡으며 활동했다. 수닐의 폭넓은 다기능, 다문화, 다국적 경험은 주로 보다폰, 노키아, 액센츄어, 페롯 시스템즈와 같은 회사에서 일하면서 영업관리와 운영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축적되었다. 수닐은 기업 임원으로서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평가 방법을 개발했고 ‘외부에서 바라보는’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PMI가 전 세계적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지를 잘 알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